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폴란드반응12

[폴란드 반응] KF-21 기술유출시도? 굴러온 호박을 제 발로 걷어찬 인도네시아: 이제 유럽(폴란드)과 중동(사우디)이 나설 차례다 (675화) 한국 다음으로 KF-21 보라매에 대한 기사를 많이 게재하고 있는 나라는 아마도 폴란드일 것입니다.  그만큼 폴란드가 KF-21 보라매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텐데요. 2024년 2월 21일, 폴란드 군사전문지 Defence24는 “KF-21 프로그램에 인도네시아 대신 폴란드가? USB 사건이 가져올 파장”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Defence24는 “2016년 한국이 인도네시아를 KF-21 프로그램의 파트너로 받아들였던 목적은 13억 달러, 한화 1조 7,000억 상당의 개발비용을 아끼는데 있었던 것이 아니라 KF-21 50여대를 도입해 줄 첫 고객을 확보함으로써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데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KF-21 개발분담금 납부는 체.. 2024. 9. 24.
폴란드 육군의 미래는 대한민국 차기 전차 K3에 달려있다? 현대로템을 방문한 폴란드 기자가 평가한 K2흑표의 장단점 폴란드 군사 전문지 Defence24의 편집자들이 현대로템의 초대를 받아 경남 창원에 있는 현대로템 공장을 직접 방문했습니다. K2흑표를 가까이서 직접 보고, 듣고, 느낀 Defence24 편집자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지난 2023년 6월 23일 기사를 작성하여 게재했습니다. 본인들이 직접 취재한 내용인 만큼 기사의 충실도가 높은 것이 느껴지는데요. 폴란드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K2흑표의 장단점에 대해 심층 분석을 해놓았습니다. 이번 기사는 1) 폴란드산 흑표범 K2PL의 등장, 2) 폴란드가 놓쳐서는 안될 다시 없는 기회: 대한민국 차세대 주력전차 K3 개발 프로젝트, 3) 쉽게 대답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들, 4) K2, K2PL 그리고 K3와 관련된 산업적 이슈들이라는 4가지 소제목으로 구성되어.. 2023. 9. 11.
현대로템 서준모 상무 Defence24 인터뷰: 유럽시장을 노리는 ‘폴란드’산 K2PL의 성능은? 한국군 K2와 비교한다면? 2023년 5월 12일 폴란드 군사전문지 Defence24는 서준모 현대로템 상무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세계 수출시장을 노리는 폴란드산 K2 주력전차’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최근 선거를 통해 교체된 호주 정부에 의해 한화 AS-21 레드백이 도전하던 보병전투장갑차 사업이 거의 1/4 수준으로 축소되면서 방산제품 해외 수출이 안고 있는 구조적인 리스크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천문학적인 비용과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 인프라를 요구하는 방산제품의 경우, 계약부터 실제 인도까지 2~3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사이 호주처럼 정부가 교체되고 새로운 정부가 이전 정부와 반대되는 국방 정책을 표방한다면 기존의 사업이 축소되거나 심한 경우 아예 취소되어버리는 변수가 얼마든지 발생.. 2023. 8. 23.
대한민국과의 방산계약에 왜 절충교역 조항은 없는 것인가? 자국 네티즌 불만에 대한 폴란드 국방부의 대답 폴란드 군사매체 Defence 24는 2023년 2월 6일 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의 방산계약에 왜 그 흔하디 흔한 절충교역 조항이 보이지 않는 것인가?”라고 질문한 폴란드 인민당 소속 국회의원에 대한 폴란드 국방부의 답변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폴란드 국회의원이 그렇게 질문한 배경을 추론해 본다면 폴란드 국민들 중에 그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Defence24의 이번 기사를 번역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이러한 오해에 대한 가장 확실한 답변을 주고 있는 ‘폴란드 현지 기사’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폴란드 국방부는 지금까지 생소했던 나라 대한민국에서 대량의 방산장비를 들여오는 이유와 필요성을 대중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Defence24 같은 군사 전문매체들을 적극 활.. 2023. 6.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