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공군 무기체계253 한국, MUM-T 개발능력 이미 보유했다? 국제전략연구소 IISS 분석: 유무인복합체계 적용된 KF-21, FA-50 2037년 등장한다 (679화) 대한민국과 관련된 해외 군사전문지 기사들을 번역하다 보면 심심찮게 만나게 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Ambitious』라는 단어가 바로 그 주인공인데요. 원래 ‘야심만만하다’는 뜻으로 쓰이는 이 단어는 해외 기사에서 보통 ‘성공하기 어렵다’는 말의 완곡한 표현으로 쓰일 때가 많습니다. KF-21 보라매가 아직 KF-X였던 시절, 많은 외신들은 KF-X 개발 일정에 대해 『Too Ambitious』, “이루 말할 수 없이 성공하기 어려운 계획”이라고 표현하기 일쑤였습니다. 하지만 그 ‘야심 차기 이를 데 없는” 개발 일정에 따라 실제로 시제기가 만들어지고, 초도 비행에 성공하고 이제는 본격적인 양산 과정으로 돌입하는 지경이 되다 보니 더 이상 KF-21 보라매에 『Ambitious』 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 2024. 9. 30. ‘하늘을 나는 요새’ B-52H를 호위하며 무력시위에 나선 FA-50에 흥분한 중국: FA-50 블록 20로 그리펜을 상대하는 KAI? (677화) 2024년 2월 21일 인도계 언론 Eurasian Times는 미 태평양 공군 소속 ‘하늘을 나는 요새’ B-52H 스트라토포트리스(Stratofortress) 1대와 필리핀 공군 소속 FA-50PH 3대가 편대를 이루어 남중국해 상공을 위력 순찰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B-52H 스트라토포트리스는 미 공군에 마지막으로 납품된 시기가 1962년이었을 정도로 오래 전에 개발된 기체이며 무려 62년째 운용되고 있는 전략 폭격기입니다. 최대 속도는 마하 0.857이지만 항속거리가 무려 16,300㎞, 전투행동반경은 5,500㎞에 달합니다. 최대 31톤에 달하는 폭탄과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죠. B-52H 스트라토포트리스는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 군이 숨어있던 정글이나 북베트남 소유 항구를 초.. 2024. 9. 26. [폴란드 반응] KF-21 기술유출시도? 굴러온 호박을 제 발로 걷어찬 인도네시아: 이제 유럽(폴란드)과 중동(사우디)이 나설 차례다 (675화) 한국 다음으로 KF-21 보라매에 대한 기사를 많이 게재하고 있는 나라는 아마도 폴란드일 것입니다. 그만큼 폴란드가 KF-21 보라매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텐데요. 2024년 2월 21일, 폴란드 군사전문지 Defence24는 “KF-21 프로그램에 인도네시아 대신 폴란드가? USB 사건이 가져올 파장”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Defence24는 “2016년 한국이 인도네시아를 KF-21 프로그램의 파트너로 받아들였던 목적은 13억 달러, 한화 1조 7,000억 상당의 개발비용을 아끼는데 있었던 것이 아니라 KF-21 50여대를 도입해 줄 첫 고객을 확보함으로써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데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KF-21 개발분담금 납부는 체.. 2024. 9. 24. F-16을 매개로 한 KF-21 보라매와 라팔(Rafale)의 성능비교! 승부의 관건은 OOO에 달려있다? 꽤 오래 전부터 기획하고 있던 영상이 하나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자존심 라팔(Rafale)과 그의 최고 라이벌로 떠오른 대한민국 KF-21 보라매를 비교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요. 그러나 KF-21 보라매는 아직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인 기체이기 때문에 라팔(Rafale)과 비교하는 해외 전문가들의 글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도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에 라팔(Rafale)과 F-16을 비교하는 내용들은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는데 생각이 미쳤습니다. 개인적으로 F-16에 스텔스 성능을 가미하고 첨단 기술을 투입해 대형화시킨 결과물이 KF-21 보라매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몇 번 말씀 드린 적이 있는데요. 라팔(Rafale) Vs F-16이라는 주제의 글에 F-16 대신 KF-.. 2024. 6. 21. 이전 1 2 3 4 5 6 ··· 6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