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방산주가14

[War Zone] 공중급유에 성공한 KF-21에 대한 美 군사전문지의 평가: F-35의 매력적인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 높아졌다! (685화) T-50 일본 진출 가능성 소식에 있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던 또 다른 밀리터리 뉴스는 바로 KF-21 보라매가 첫 공중급유 테스트에 성공한 사실이었습니다.  신뢰성 높은 미국의 군사전문지 War Zone에서도 해당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었는데요. War Zone은 KF-21 보라매가 첫 공중급유 테스트에 성공했다는 소식에 대해 “어느 모로 보나 KF-21 보라매는 놀랍도록 빠른 일정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일정 지연과 비용 초과가 발생하기 쉬운 차세대 전투기 개발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을 생각해 본다면 놀라움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War Zone은 KF-21 보라매가 최종적으로 “4.75세대 전투기가 될지도 모른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4.75세대 전투기란 “5세대.. 2024. 11. 27.
방위성 T-50 도입관련 발언에 흥분한 일본 네티즌 반응: 절대로 한국산은 안 된다 Vs 실적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684화) 일본 방위성이 한국항공우주산업 (F)T-50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일본의 군사전문블로그 항공만능론GF에 소개되자 일본 네티즌들이 그야말로 폭발적인 반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읽어봤던 항공만능론GF 기사 중에 가장 많은 수의 댓글이 달려 있는 기사가 되었습니다.  항공만능론GF의 기사와 일본 네티즌들의 댓글을 읽으며 느꼈던 점은 일본 네티즌들마저도 보잉 T-7A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판단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성능이 후지다” “최근 인터넷에서 욕을 배부르게 먹고 있는 보잉(Boeing)의 지갑 역할을 하고 싶지 않다”는 표현에서부터 “못생겼다(?)”라는 비판까지 받고 있습니다.  보잉 T-7A의 스펙이 공개되면서 인터넷 상으로 떠돌던 루머들이 사실로 판명되고 있는데요. .. 2024. 11. 26.
[인도 반응] ADEX 2023에 등장한 신형 사거리연장탄(ERM)과 K9썬더: 중국을 상대하는 인도군 전력향상에 크게 기여하다! 야포와 기병 및 보병 위주로 이루어지던 전투 양상이 극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기점은 제1차 세계대전이었습니다.  아직 어설픈 단계이기는 했지만 전차와 전투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죠. 그렇지만 역사 자료를 찾아보면 이 때까지만 해도 여전히 야포와 함포가 가장 강력한 공격 및 방어 수단이었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부터는 전장 상황이 완전히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던 미군의 M110 8인치 자주곡사포의 사정거리가 불과 17㎞를 넘어가지 못한 것에 비해 미 육군 항공대가 운용했던 주력 폭격기 B-17 플라잉 포트리스(Flying Fortress)의 경우 수천㎞가 넘는 항속거리를 자랑했던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제공권을 장악한 나라가 절대적인 우.. 2024. 6. 26.
F-16을 매개로 한 KF-21 보라매와 라팔(Rafale)의 성능비교! 승부의 관건은 OOO에 달려있다? 꽤 오래 전부터 기획하고 있던 영상이 하나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자존심 라팔(Rafale)과 그의 최고 라이벌로 떠오른 대한민국 KF-21 보라매를 비교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요. 그러나 KF-21 보라매는 아직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인 기체이기 때문에 라팔(Rafale)과 비교하는 해외 전문가들의 글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도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에 라팔(Rafale)과 F-16을 비교하는 내용들은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는데 생각이 미쳤습니다. 개인적으로 F-16에 스텔스 성능을 가미하고 첨단 기술을 투입해 대형화시킨 결과물이 KF-21 보라매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몇 번 말씀 드린 적이 있는데요. 라팔(Rafale) Vs F-16이라는 주제의 글에 F-16 대신 KF-.. 2024. 6.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