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SS-312 [Naval News] 한국형 핵추진 잠수함 KSS-N의 등장이 멀지 않았다는 외신보도, 과연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지난 2021년 12월 15일 미국의 잠수함 전문가 H.I 서튼(Sutton)은 정통한 해군 군사전문지 Naval News에 다음과 같은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South Korea’s First Nuclear Submarine Looks Closer. (대한민국 최초의 핵추진 잠수함의 등장이 머지 않았다)” 기사 내용을 요약해보면 지난 11월 10일, 대한민국이 원자로를 자체 기술로 개발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보도한 국내 언론들의 기사를 근거로 해외 군사전문가들이 이를 대한민국의 핵추진 잠수함 프로그램과 연계시켜 생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디젤-전기 잠수함, 특히 KSS-III 도산 안창호급은 세계에서 가장 정교하고 우수한 성능을 지닌 잠수함 중 하나라고 소개한 뒤.. 2022. 7. 31. [Reuters ] 43년 된 독일산 인도네시아 잠수함 실종사건과 2차 잠수함사업의 향방, 러시아가 아니었으면 KSS-III도 없었다? 2021년 4월 21일 수요일 로이터 통신은 인도네시아 해군의 209형 잠수함 KRI 낭갈라(Nanggala)가 발리 섬 근처 해역에서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특보로 전했습니다. 이 뉴스는 곧 세계 여러 나라 언론에 전달되었고 대한민국 국내 언론으로도 소개가 되었습니다. 로이터 통신의 기사 내용을 읽어보면 문제의 209형 잠수함 KRI 낭갈라(Nanggala)가 무려 43년 전인 1978년 건조된 굉장히 오래된 잠수함이며 우리나라 대우조선해양(DSME)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2년에 걸쳐 대대적인 업그레이드 작업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인도네시아와는 2차 잠수함 계약도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기도 해서 좀 더 자료를 모아 상세한 내용을 알아보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잠수함 건조기술을 .. 2022. 4. 3. [Janes] 성공적 개량사업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게 된 대한민국 장보고급(209형) 잠수함! 과연 무엇이 달라졌을까? 2020년 12월 11일 방위사업청은 대우조선해양(DSME)과 1,650억 원 규모의 장보고급(209형) 성능개량(Product Improvement Program: PIP)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군사 전문지 Jane’s도 2020년 12월 16일 기사로 이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요. 1991년부터 진수된 KSS-1 장보고급 1번함의 경우 실전배치 이후 3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대한민국 해군의 원래 계획은 장보고급(209형) 잠수함인 최무선함, 나대용함, 이억기함 3척을 개량해 2030년대까지 최대한 운용하고, 도산 안창호급(KSS-Ill)이 배치되는 시점에 맞춰 나머지 장보고급 잠수함들 중 3척을 퇴역시켜 훈련함으로 사용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방위사업청의 12월 1.. 2022. 3. 3. [National interest] 원자력 잠수함과 별 차이 없는 리튬 전지 잠수함? 대한민국 도산 안창호급(KSS-3) VS 일본 타이게이급 일본의 최신형 잠수함 타이게이(Taigei, 大鯨)급이 지난 2020년 10월 14일에 진수되면서 국방 TV등에서도 이를 다룬 적이 있습니다. 많은 시청자 여러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부분은 이 타이게이급과 우리나라 KSS-III 잠수함 중 누가 더 강한가? 라는 부분인데요. 이게 참 원초적인 질문이지만 가장 궁금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저도 美 국방 전문매체 National Interest를 통해 일본 타이게이급 잠수함에 대한 기사를 접하고서는 인터넷과 군사 전문지 등을 통해 정보를 모아 대한민국 KSS-III와 비교를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0년 3월 5일, 일본은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한 소류급의 11번째 잠수함 오류함을 취역시켰는데요. 오류함은 기존 소류급 잠수함에서 사용해왔던 .. 2022. 2. 23.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