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육군 무기체계/지상의 왕자! 기갑 전력

NATO Dragon24 훈련에서 맹활약을 펼친 K2 흑표: 루마니아가 K2흑표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 2가지 이유 (692화)

by KKMD Kevin 2025. 2. 1.
728x90
반응형

 

 

2024 1 26일 폴란드 군사전문지 Defence24는 루마니아 군사매체 디펜스 루마니아(Defense Romania)의 보도를 인용해 신형 자주포 수주전에서 K9 썬더가 승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내용을 1 27 KKMD 661(K9)을 경배하라! 자주포 입찰에서 K9썬더를 최종 선택한 루마니아: 독일 PzH 2000은 어쩌다 이 지경이 됐을까?편을 통해 시청자 여러분들께 소개했고 그로부터 이틀 뒤인 1 29일 국내 매체들이 앞다투어 해당 내용을 보도하기 시작했죠.

 

그런데 2024 4 5일 일본의 군사전문 블로그 항공만능론GF가 루마니아 군사전문지들의 보도 내용을 인용하며 각종 지원차량을 포함한 K2 흑표 주력전차 500여대가 루마니아에 판매될 가능성이 유력해지고 있다고 보도한 것입니다.

 

항공만능론GF는 이를 뒷받침하는 또 다른 유력한 증거로 한국경제신문이 4 5일 게재한 기사 내용을 들었는데요. 한국경제신문은 K2 흑표의 루마니아 현지 사격 테스트가 결정됐다고 보도하며 현지 사격 테스트는 계약 체결 직전에 진행되는 성능평가의 마지막 단계로 이 테스트를 통과하면 구체적인 계약 내용, 즉 금액과 조달 숫자, 납품 기한 등이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노르웨이 수주전에서처럼 성능이 아닌 정치적 이유 때문에 막판에 판이 뒤집히지는 않을까? 라는 의구심이 생기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우리가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학습했기 때문이죠.

 

개인적으로 K2 흑표 루마니아 수출은 노르웨이 수주전과는 달리 막판에 뒤집힐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2024 4 5일 항공만능론GF가 게재한 기사 신형 주력전차 300대를 도입하려는 루마니아: 미국산 M1 에이브람스와 한국산 K2 흑표의 경쟁인가?”를 번역해 본 뒤 그렇게 분석한 이유에 대해 다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youtu.be/U5Y0jMCFyps

반응형

 

___________________

 

미국은 M1A2 버전 에이브람스 54대를 루마니아에 매각하는 계약을 승인하고 그에 따른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지만, 루마니아 국방부는 300대의 주력전차를 새로 구입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한국군 관계자도다음 달 5월 루마니아에서 K2 흑표의 사격 테스트를 실시하기로 결정되었다고 밝혔다.

 

루마니아 국방부는 2022년 말 대한민국과의 방위협력에 관한 기본합의서에 서명했고, 이를 바탕으로 루마니아 군사 전문지들은 양국 정부가 4가지 분야에서 협상을 시작했다고 언급하면서 "루마니아 육군의 구형 주력전차 TR-85 K2 흑표 주력전차로, 견인식 구형 곡사포를 K9 썬더 자주포로, 구형 보병전투장갑차 MLI-84를 한화 레드백(Redback)으로 교체하는 내용과 루마니아 국내에 화약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에 대한 사안들이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치우커 총리가 이끄는 루마니아 협상단이 대한민국을 방문한 바 있으며 루마니아 군 관계자들도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방문해 K2 주력전차 및 K9 자주포 그리고 Redback 보병전투장갑차를 시승하기도 했다.

 

루마니아 국영기업인 롬암(Romarm) 2023 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방위산업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지만, 테오도르 인치카시 군비국장은 루마니아 국방부가 발행하고 있는 기관지 옵세바토룰 밀리타르(Observatorul Militar)와의 인터뷰에서 "대대 규모의 M1 에이브람스를 조달하기 위한 사전 승인을 의회에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루마니아 의회도 2023 5 M1A2 에이브람스 54대 조달 안을 결의했고 미 국무부도 같은 해 11 M1A2/SEPv3, M1A2R을 루마니아에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하여 현재 매각을 위한 계약 협상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무래도 루마니아는 두 단계로 나누어 주력전차를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

 

인치카시 군비국장은 지난해 7월 루마니아 정부가 300여대의 신형 주력전차를 구매할 예정이라며 "구매 시기는 육군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고, 루마니아의 군사전문 매체들 역시 "M1 에이브람스를 조달한다고 해서 이들이 신형 주력전차로 선정된다는 뜻은 아니며 이미 합의된 M1 에이브람스 조달 사업은 산업협력이 필요 없는 정부 대 정부 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루마니아 군사전문 매체들은 또한 "우리가 적극적인 산업협력을 위해 대한민국 K2 흑표를 선택하면 루마니아 육군의 주력전차 구성은 미국산 M1 에이브람스와 한국산 K2 흑표가 서로 보완하는 형태가 되어 폴란드 전차 도입과 매우 흡사한 모습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는데 한국언론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4 5 K2 흑표의 루마니아 현지 사격 테스트가 결정됐다고 보도한 것이다.

 

한국경제신문은 루마니아에서의 K2 흑표 사격 테스트가 확정되었고 5 10일에서 16일 동안 실시되는 K2 흑표 사격 테스트에 대한민국-루마니아 양국 정부 관계자와 현대로템실무자가 참여한다고 언급했다.

 

한국경제신문은 "현지 사격 테스트는 계약 체결 직전에 진행되는 성능평가의 마지막 단계로 이 테스트를 통과하면 구체적인 계약 내용, 즉 금액과 조달 숫자, 납품 기한 등이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기 더해 대한민국 방산업계 관계자는 "루마니아 시장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K2 흑표 수주 숫자는 각종 지원 차량을 포함하여 대략 500대 정도이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0조원 규모"라고 언급했다.

 

현대로템은 K2 흑표 생산과 관련된 기술이전을 루마니아 정부에게 제안하면서 K2 흑표에 사용되는 소재, 부품, 하위 시스템의 생산을 현지 기업에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루마니아 육군의 주력전차 수주전을 두고 한국산 K2 흑표와 미국산 에이브람스가 다시 격돌하는 모양새다.

 

덧붙여서 화약 공장의 건설에는 독일 방산업체 라인메탈(Rheinmetall)을 파트너로 선정한 루마니아 방산업체 롬암(Romarm)이 동유럽 최대의 화약 공장을 건설해 더 이상 세르비아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질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https://youtu.be/X-D0xSI8EFo

728x90

 

 

_________________

 

지금까지 항공만능론GF 4 5일 게재한 K2 흑표 루마니아 수출 가능성에 대한 기사를 번역해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K9 썬더 자주포에 이어 K2 흑표 주력전차도 루마니아로 수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조심스럽게 분석해 보는데요. 세계적으로 이름난 명품 전차 M1 에이브람스와 경쟁하게 된 상황에서도 나름 긍정적으로 분석해 보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M1 에이브람스와 K2 흑표를 과연 경쟁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느냐? 라는 부분입니다. M1 에이브람스는 K2 흑표보다 10톤 이상 무거운 장갑을 두르고 있는 만큼 우수한 방어력을 자랑하고 있어 시가전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거운 만큼 기동성이 떨어지고 연비가 나쁠 수밖에 없죠.

 

게다가 최근 폴란드 Defence24가 유튜브 채널에 게재한 영상을 보면 진흙탕이 된 야지를 가볍게 달리는 K2 흑표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M1 에이브람스는 육중한 무게 때문에 진흙 뻘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기가 어렵고 가벼운 교량 등도 지나갈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M1 에이브람스와 K2 흑표의 관계를 상호 경쟁의 관점보다는 상호 보완의 관점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폴란드는 M1 에이브람스와 K2 흑표를 그런 방식으로 사용하는 교리를 만들어 나가고 있는 중이며  대한민국 K2 흑표를 선택하면 루마니아 육군의 주력전차 구성은 미국산 M1 에이브람스와 한국산 K2 흑표가 서로 보완하는 형태가 되어 폴란드 전차 도입과 매우 흡사한 모습이 될 것"이라는 루마니아 군사전문 매체들의 지적이 제 추론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둘째. 노르웨이 수주전에서 K2 흑표가 독일 레오파드 2A7에게 패하고 말았지만 성능 면에서 결코 뒤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이제 너무나도 유명한 이야기가 되고 말았습니다. 항공만능론GF 댓글란에 한 일본 밀리터리 매니아가 흥미로운 의견을 제시했는데요. 잠시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ATO 합동군사훈련 Dragon24에 처음으로 등장한 폴란드 군의 K2 NATO 동맹국 군인들에게 호평 받았던 것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Dragon24를 통해 K2 흑표의 고지 등반 능력이 M1 에이브람스나 레오파드 2보다 뛰어나다는 사실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산악전을 배려해야 하는 루마니아에게 K2 흑표가 매력적으로 비쳐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폴란드에서 개최된 Dragon24에 모인 NATO 군인들이 K2 흑표에 대해 좋은 인상을 받았다는 일본 밀리터리 매니아의 댓글을 보고 자료 검색을 해봤더니 폴란드 군사전문지 Defence24에서 이와 관계된 기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엄청나게 방대한 분량의 기사라서 함부로 건드릴 엄두는 나지 않지만 기회가 된다면 번역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K2 흑표는 정치/경제적 요소 때문에 독일 레오파드 2A7에게 패배한 것인데요. 루마니아 주력전차 수주전에서 K2 흑표와 저울질 당하고 있는 것은 미국산 M1 에이브람스입니다. 더구나 루마니아는 현재 주력전차 수백 대가 필요한 상황인데 폴란드처럼 앞서 M1 에이브람스를 주문해 놓은 나라들 때문에 언제 차례가 돌아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며 주문 수량도 54대에 불과합니다. 적어도 300대 이상의 신규 주력전차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는 루마니아 육군 입장에서는 미국만 바라보고 있기에는 불안하기 짝이 없는 상황이죠.

 

지금까지 말씀 드렸던 두 가지 요인 때문에 루마니아 역시 폴란드처럼 M1 에이브람스와 K2 흑표를 모두 도입하여 상호 보완하여 사용하는 교리를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썬더 자주포에 이어 현대로템의 K2 흑표가 루마니아에서 10조 규모의 잭팟을 터트릴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포스팅을 유튜브 영상으로 보고 싶다면? https://youtu.be/H2gzlP51U_Y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