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보라매65

고성능/고비용화 되고 있는 美 전투기 개발정책의 빈틈: KF-21 보라매, 최고의 가성비로 제2의 F-16을 노려라! 미리 예고했던 대로 오늘 포스팅은 미국의 국제정세 전문지 Foreign Policy가 지난 8월 14일 게재한 기사 『The Fighter Jet Market Enters Its Multipolar Era. Can the F-35 and the United States keep up with new competition?』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을 전달하는 내용이 될 것입니다. 많은 해외 밀리터리 기사를 접하면 접할수록 정치, 경제 및 지정학적 이슈들이 복잡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분야가 군사 분야임을 실감할 수 있으며 스스로 부족한 점이 많다는 사실을 늘 통감하고 있습니다. 혹시 논지를 전개함에 있어 부족한 부분이 보이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국 출신의 아마추어 사학자이자 프리랜서.. 2023. 11. 17.
다극화된 전투기시장에서 F-35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KF-21에게 기술이전 및 암람통합을 거부했던 미국, 후회하기 시작하다 [Foreign Policy] “F-16은 해낼 수 있었지만 F-35는 해낼 수 없는 일”이 무엇일까? 라는 질문은 의외로 많은 것을 내포한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번역할 예정인 Foreign Policy 기사의 맥락을 관통하는 내용이 될 수도 있고요. 미국의 국제정세 전문지 Foreign Policy는 세계 전투기 시장에서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로 대표되는 미국의 지배력이 약화되고 다극화 시대, 일명 ‘전투기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제가 늘 강조하고 있지만 F-35는 대단히 우수한 전투기입니다. 뛰어난 스텔스 및 상황인식 능력 덕분에 먼저 치고 빠질 수 있어 생존성이 높고 불시에 적의 대공 방어망을 와해시킬 수 있는 능력까지 지니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첨단 데이터 링크를 통해 각종 장거리.. 2023. 11. 15.
[프랑스 반응] 라팔, Su-35를 제압할 수 있는 성능을 지닌 KF-21 보라매와 굴러온 호박을 걷어찬 인도네시아 한 지인의 권유로 튀르키예 TF-X 칸(Kaan)과 대한민국 KF-21 보라매를 비교해 놓은 해외 유튜버 영상에 달린 댓글들을 읽어보았습니다. 지인은 해당 영상에 달린 댓글들을 번역하고 그에 대한 코멘트를 한다면 꽤나 흥미로운 내용의 영상이 만들어질 것 같다고 제안을 했는데요. 확실히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땅덩어리가 크고 인구가 많은 나라, 예를 들면 중국이나 인도 같은 나라들의 군사 전문지나 밀리터리 매니아들이 기사 혹은 유튜브 영상을 통해 보여주는 민족적인 자부심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인데요. 그 민족적 자부심의 객관적 근거가 부실하거나 ‘정신승리’에 의존할 때 우리는 속된 말로 ‘국뽕’이라는 단어로 표현을 합니다. 하지만 오늘 소개할 프랑스 군사전문지 Meta Defense가 2023년 .. 2023. 11. 7.
[중국 반응] 한국을 압박(!)한다며 KF-21 개발비 8천억은 연체시키고 시제 4호기 탑승에는 열광하는 인도네시아, 애들 보기 부끄럽지도 않나? 최근 복좌형 KF-21 보라매 시제4호기 후방 좌석에 인도네시아 파일럿을 탑승시킨 채 비행하고 난 뒤 인도네시아 언론들이 이를 주요 기사로 싣고 있는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가 체납하고 있는 KF-21 보라매 개발분담금에 대해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논지의 기사들이 인도네시아 매체에서 하나 둘씩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미국의 눈치를 보는 대한민국이 약속했던 수준의 기술이전을 해주지 않으려 한다’ 라거나 ‘프랑스 라팔(Rafale)과 미국 보잉의 F-15EX를 도입하는 시점에서 굳이?’ 라는 느낌을 주는 기사들을 실으며 “우리(인도네시아)가 없으면 대한민국은 KF-21 양산은커녕 해외 수출도 어렵다”고 배짱을 튕기던 인도네시아 언론들의 태도가 어느 정도 바뀌고 있는 듯이 보이기 합니다. 개인적으.. 2023. 10.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