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우크라이나10

K9 썬더의 전투력을 극대화 시켜라! 차세대 한국형 사격지휘체계 BTCS A2의 등장 2014년 발발했던 돈바스(Donbass)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 군에게 괴멸적인 피해를 입혔던 존재가 바로 러시아의 포병 전력이었습니다. 152㎜ 대구경 포탄을 앞세운 러시아 포병 전력 앞에 수 많은 우크라이나 정규군과 민간인들이 희생되었죠. 하지만 우크라이나 군은 싸울 의지를 잃기는커녕 민간 전문가들과 합동하여 러시아 포병 전력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대신 우크라이나의 포병 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우크라이나 포병대의 우버(Uber)’ 아르타(Arta) 포병용 지리정보 시스템(GIS)이었습니다. 크름(러시아식으로는 크림)반도 합병이나 돈바스 전쟁에서는 너무나도 효과적이었던 러시아 포병 전력이 2022년 2월부터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2023. 4. 10.
155㎜ 포탄을 두고 남북한 대리전이 되어버린 우크라이나 전쟁: 표정관리 안 되는 블라디미르 푸틴 [美 19fortyfive 번역] 2022년 10월 27일 러시아 언론 스푸트니크 통신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러시아 전문가 모임인 '발다이 클럽'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상황과 관련해 대한민국을 언급했습니다. 스푸트니크 통신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국이 우크라이나에게 무기와 탄약을 제공하기로 한 사실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하기도 했고 한동안 국내 언론들은 이를 인용하며 “푸틴이 직접 한국을 지목해 경고장을 날렸다”고 대서특필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우리 정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만약 우크라이나에게 무기를 제공할 경우 한-러 관계가 파탄 날 것”이라고 경고한 데 대해 "살상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공급한 사실이 없다"고 말하며 이는 어디까지나 대한민국의 주권 문제라고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해외 정치군사 전.. 2023. 4. 6.
폴란드로 입양시킨 K9 썬더의 아들 AHS 크라프: 우크라이나에 막강한 화력을 제공하다 [19fortyfive] 자주포(Self Propelled Gun: SPG)와 주력전차(Main Battle Tank: MBT)는 서로 뭐가 다른 거지? 혹시 궁금하게 생각해 본 적은 없으신가요? 둘 다 무한궤도로 움직이고 탱크처럼 생긴 차체에 거대한 포가 장착되어 있어 얼핏 보면 둘 중 하나만 있어도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외형적으로 봤을 때 K9 썬더 자주포는 K2 흑표 주력전차에 비해 전장이 조금 더 길고 전고도 1미터 가량 더 높습니다. 자주포를 일컫는 영어 단어 Self Propelled Gun을 살펴보면 좀 더 쉽게 의미가 와 닿는데요. “스스로(Self) 추진해서 움직이는(Propelled) 대포(Gun)”라는 뜻입니다. 트럭 등으로 견인해서 움직여야 하는 견인포가 자주포와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포병.. 2023. 1. 2.
M1 에이브람스에 속타는 폴란드를 향한 현대로템의 승부수: K2 흑표 얼마나 필요해? [Defence 24] ※ 이 포스팅은 폴란드와 K2 흑표 1,000대 수출 계약이 이루어지기 전인 2022년 5월 작성된 것입니다. 2022년 5월 13일, 폴란드의 국방전문매체 Defence24는 대한민국 방산업체 현대로템이 폴란드가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주력전차 윌크(Wilk) 개발사업에 K2PL 주력전차를 제안하며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폴란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나라들 중의 하나입니다. 우크라이나가 무너진다면 다음은 폴란드 차례일 테니까요. 폴란드가 주력으로 운용하고 있던 500여대의 냉전시대 T-72계열 전차들은 곧 퇴역시켜야 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었고 독일로부터 들여온 250여대의 레오파드 2는 부품 수급이 불안정했.. 2022. 12.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