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공군 무기체계/대한민국의 날개 KF-21과 FA-50

[Naval News] 러시아 덕분에 따라잡은 미사일기술 30년! KF-21용 초음속 대함미사일과 한국형 미티어 공대공 미사일, 그 모습을 드러내다

by KKMD Kevin 2022. 6. 26.
반응형

KF-21용 초음속 대함 미사일 컨셉 아트

 

2021 2 15, 전 세계에 지부를 두고 있는 군사뉴스전문지 Naval News.comKF-21에 장착될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이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지난 2020 7 4173“KF-21, 세계에서 5번째로 자체개발 한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을 장착한 항모 잡는 전투기가 되다!” 편을 통해 KF-21 보라매가 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장착하여 세계에서 5번째로 항모를 잡을 수 있는 전투기가 된다는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사실 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개발한 나라들 중에 대만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공대함 버전은 없기 때문에 제가 5번째라고 지칭을 했었습니다. 많은 정보가 공개된 대만의 슝펑초음속 대함 미사일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초음속 대함 미사일에 대해서 상세한 정보는 아직까지도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군사전문지 밀리터리 리뷰에 따르면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인 무기체계 중에 절대 언급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 관계자들 사이에서 나돌 정도로 엄중하게 보안을 유지한 3가지가 바로 현무 미사일과 초음속 대함 미사일 그리고 한국형 전자전 체계였다고 합니다. 지금도 이 3가지 무기는 최고 극비사업으로 분류되어 관련 논문이 학술대회에 출품되는 것조차 차단당할 정도라고 하니 얼마나 보안에 신경을 쓰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철저하게 비밀에 가려져 있던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대략적인 모습을 알 수 있는 컨셉 아트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동시에 Naval News는 자체 정보통을 활용해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에 대해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내용까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기사를 함께 읽어 나가기 전에 미리 알고 계시면 좋을 포인트를 짚어 본다면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 개발에 있어 가장 어려운 난제는 바로 램젯 엔진 핵심기술과 공기흡입구 형상설계였고 당시 대한민국은 그 단계에서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반해 일본은 2000년대 초반 자체 기술로 ASM-3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었고 2017년에 개발이 완료되었음을 선언했죠. 대한민국의 미사일 기술과 일본의 미사일 기술 사이에는 상당한 세월에 해당하는 격차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증거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한일간의 미사일 기술격차를 단숨에 따라잡게 해주었던 존재가 있었으니 바로 불곰의 나라러시아였습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는 번역을 마친 이후 해보도록 하고요.

 

https://youtu.be/vsdgfD5ZtzY

 

 

또 한가지 알아두시면 좋은 이야기는 램젯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이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개발하면서 습득한 기술 덕분에 공대공 미사일의 명가 MBDA가 만든 미티어(Meteor) 공대공 미사일에 버금가는 능력을 지닌 국산 시계 외 공중전(BVR)용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LIG 넥스원은 KF-21용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중이기도 합니다. 결국 KF-21은 양산 시기 전후가 되면 대함, 대공, 대지 공격 능력을 모두 갖추게 된다는 뜻이죠.

 

그럼 Naval News가 게재한 짧은 기사를 번역해 본 이후 이야기를 이어나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

 

한국형 전투기 KF-21에 장착될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모습을 그려낸 첫 컨셉아트가 공개됐다.

 

대한민국 국내에서 "400mm급 공대함 유도탄-Ⅱ"로 알려진 이 미사일은 공기흡입구의 장착을 뜻하는 덕티드(ducted) 램젯 추진 방식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사정거리가 500km에 달한다. 이 신형 공대함 미사일은 2026년 실사격 테스트를 거친 이후 2020년대 후반이나 2030년대 초에 대한민국 공군(ROKAF)의 차세대 전투기 KF-21과 함께 실전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Naval News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 대한민국 방산업계 소식통은 이 신형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이 한국의 미사일 시스템 제조업체인 LIG넥스원과 국방과학연구소(ADD)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되고 있는 중이라는 정보를 확인해 주었다.

 

비공식적으로 운영되고 있기는 하지만 5만 명 이상의 팔로우어(follower)를 거느리고 있으며 믿을만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군 페이스북에 올라와 있는 내용에 따르면 KF-21용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은 대한민국 해군(ROKN)이 고도의 보안을 유지하며 개발하고 있는 초음속 함대함 미사일과 별개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대한민국은 KF-21에 장착하기 위해 최강의 공대공 미사일이라고 불리는 MBDA의 'Meteor'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기술로 시계 외 공중전(BVR)용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 이 한국형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은 Meteor 미사일과 마찬가지로 램젯 추진방식을 사용한다. 2020년 2분기에 국방과학연구소(ADD)가 발행한 국방과학기술플러스 제248호에 따르면 "400mm급 공대함 유도탄-Ⅱ"를 위해 개발된 핵심 기술이 바로 이 신형 시계 외 공중전(BVR)용 공대공 미사일에 적용될 예정이다.

 

https://youtu.be/VMkmLHJMyEs

 Meteor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테스트 하는 Rafale B
반응형

 

램젯 엔진, 데이터 링크 기술 등 '공대함 유도탄-Ⅱ' 미사일을 개발하면서 확보하게 된 여러 기술들이 공대공 미사일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어 대한민국 국내 기술로도 큰 어려움 없이 200㎜급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400㎜'급 초음속 대함 미사일과 '200㎜'급 장거리 램젯 공대공 미사일은 주요 부품들의 크기만 서로 다를 뿐 동일한 설계 컨셉과 형태를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의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이러한 '동일한 설계를 적용하지만 그 크기를 줄이는' 접근법을 통해 고체연료 로켓추진 방식의 미사일과 비교해 상대적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덕티드 램젯추진 방식 미사일의 높은 양산 비용을 눈에 띄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초음속 대함 미사일에 더해서 2019년 개최된 서울 에어 쇼(ADEX 2019)에서 LIG 넥스원이 공개한 KF-21용 미래형 순항 미사일에도 적외선 영상(Imaging Infrared: IIR) 탐색기가 탑재돼 주요 타격 대상인 육상 목표물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이동 중인 목표물도 타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_____________________

 

 

 

지금까지 글로벌 군사뉴스전문지 Naval News.com2021 2 15일에 게재한 “New Supersonic Anti-Ship Missile For South Korea’s KF-21 Breaks Cover (대한민국 차세대 전투기 KF-21을 위한 신형 초음속 대함 미사일, 그 모습을 드러내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번역해 보았습니다.

 

1990년대 초 미/소 냉전이 종식되고 동북아시아에서 중국과 일본이 군사대국화 됨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는 향후 이들 간의 알력다툼에서 우리의 권익을 보전해 줄 수 있는 5가지 전략 무기체계를 선정하였습니다. ‘신의 지팡이라는 별명과 함께 가공할 위력을 지닌 전역 탄도 미사일로 등장한 현무 4를 포함한 현무 미사일 시리즈와 현재 도산 안창호급으로 불리는 KSS-III 잠수함 사업, 초음속 대함 미사일, 한국형 전자전 체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감시 정찰용 위성이 바로 그 5가지 전략무기 개발사업의 내용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이 5가지 전략 무기체계들은 KKMD를 통해서도 자주 만나게 될 텐데요. 오늘 이야기하게 될 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경우모르는 것이 약이다라는 속담이 딱 들어맞는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초음속 대함 미사일 개발에 얽힌 뒷이야기라고 볼 수 있는데요.

 

당시 대한민국의 기술 수준으로 봤을 때 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개발은 기술적으로 엄청난 무리수였지만, 초음속 미사일 체계의 복잡성을 잘 몰랐기 때문에 오히려 과감하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산 넘어 산인 형편이라 자연스레 개발예산이 늘어나고 개발 스케줄 또한 엿가락처럼 늘어났지만 초음속 대함 미사일은 탄도 미사일 현무와 함께 〈전략적 비닉무기〉로 분류되어 있었기 때문에 국회의 감사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었고 덕분에 취소되는 일 없이 계속 진행될 수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만약 일이 잘못되었다면 우리가 만나게 될 KF-21은 국산 공대공, 공대함, 공대지 미사일을 갖추지 못한 절름발이 깡통국산 전투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뜻입니다.

 

2000년대 초반, 국방과학연구소는 핵심 전략과제로 결정된 초음속 미사일용 램젯 엔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군사전문지 밀리터리 리뷰에 실려 있는 내용에 따르면 기술력이 뒷받침 되지 못한 우리나라 개발진들에게 현실적인 장벽은 너무나도 높았습니다. 당시 이웃나라 일본이 ASM-3 초음속 대함 미사일 개발과 관련하여 최소 2조 원 이상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한민국 개발진들은 초음속 대함 미사일 개발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설비라고 할 수 있는 초음속 풍동 실험실조차도 없었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일해야만 했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선진국들과 수십 년 차이로 벌어져 있던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인도가 브라모스 프로그램을 위해 사용한 〈기술도입〉방식을 고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실적으로 국내개발이 어려운 공기흡입구(Duct) 구조설계와 램젯 엔진의 핵심기술은 해외에서 도입하기로 결정했던 것이죠. 2000년대 초반 당시 초음속 대함 미사일과 램젯 엔진을 모두 실용화시키고, 이를 해외에 판매한 실적이 있는 국가는 러시아가 유일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해외기술협력 경험이 많고, 실제 기술면에서도 우수한 러시아 NPO Mash사의 야혼트(Yakhont) 체계를 도입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결정을 내렸고 그들과 함께 협상 테이블에 앉았습니다. 하지만 러시아는 대한민국이 요구한 형상 설계기술 및 램젯 기술 등이 러시아에서도 핵심적인 전략기술로 구분되어 있다며 배짱을 튕겼고 동시에 천문학적인 액수의 비용을 요구했죠.

 

그렇지만 당시 러시아의 경제가 심한 혼란 상태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도 나름의 협상력을 발휘할 수 있었고 그 결과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러시아 기술설계를 활용해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개발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예전에도 한번 말씀 드린 적이 있는데요. KF-21에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능동전자주사배열 AESA 레이더의 경우에도 그 이전에 러시아에서 핵심 관련 기술이 도입되지 않았더라면 개발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소 냉전시대에 양국이 수십 년의 시간과 수 조원의 비용을 들여가며 개발경쟁을 해왔던 첨단 레이더 기술을 우리는 운 좋게도 수백 분의 1밖에 되지 않는 돈으로 바로 도입할 수 있었죠. 초음속 대함 미사일에 있어서도 당시 러시아의 경제사정이 아주 좋지 못해서 이것 저것 생각할 겨를도 없이 핵심 기술을 판매한 것이지 지금이라면 아예 협상 시도조차 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무기 개발사를 살펴보다 보면 불곰국 러시아의 덕을 본 부분이 정말 많이 보입니다. 과정이야 어찌 되었든 미소 냉전시대 동안 공산주의의 원조로 대한민국과 척을 지고 있었던 러시아로부터의 기술 도입이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방산 강국으로 인정받게 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참 아이러니합니다.

 

러시아 입장에서 볼 때는 호랑이를 키운 셈이겠지만 세계 무대에서 봤을 때 대한민국과 러시아의 관계는 오히려 좋은 편에 속한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동유럽 국가에게는 악몽 같은 러시아겠지만 중국과 일본을 생각해 봤을 때 대한민국은 러시아와의 친교를 굳건하게 수립해 나갈 필요가 있죠.

 

내 적의 적은 나의 아군이다라는 격언을 굳이 되새겨보지 않아도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러시아와 대한민국은 서로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러시아는 자원강국이고 대한민국은 기술강국이라는 점도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줍니다. 게다가 러시아가 경제 위기를 겪었을 때 러시아를 떠나간 대부분의 해외 기업들과는 달리 끝까지 러시아에 남아 시장을 지켰던 대한민국 기업들에 대한 러시아 국민들의 이미지가 매우 좋다는 점도 러시아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나가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2022년 2월에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와 대한민국 간의 우호 관계에는 먹구름이 끼고 있고 반대로 중국과 러시아는 그 어느 때보다 밀착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아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가장 큰 반사 이익을 누리게 될 나라는 중국이 될 것 같습니다. 역주)

 

대한민국의 차세대 4.5세대 전투기 KF-21에 장착될 초음속 대함 미사일은 해군력에서 수적 우위를 보이고 있는 중국과 항모 경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을 견제할 수 있는 매우 핵심적인 전략 무기가 될 예정입니다.

 

수상 전투함에서 발사하는 함대함 버전과는 달리 공중에서 발사되는 공대함 버전은 전투기의 비행 속도로부터 이미 마하 0.6에서 0.8정도의 가속도를 얻게 되고 높은 고도에서 유래하는 위치 에너지까지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가벼운 무게라도 더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함대함 버전의 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사정거리가 300~400km 내외라도 공대함 버전의 초음속 대함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500km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이죠.

 

https://youtu.be/abWP3RfyR68

엘빗 시스템의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 Rampage

 

 

KF-21용 초음속 대함 미사일은 첨단 시커와 램젯 엔진을 갖추고 데이터 링크 기능도 보유하고 있어 기동 도중 경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며 한 번 놓친 표적을 선회하여 다시 타격하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이는 러시아의 야혼트 미사일의 특징 중 하나인데요. 야혼트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 대부분을 KF-21용 초음속 대함 미사일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 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개발하면서 습득한 파생기술을 통해 우리의 염원이던 미티어급 국산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타우러스급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도 매우 고무적인 결과입니다.

 

미국제 공대공 미사일 AIM-120 AMRAAM을 사용하는 국가들이 하도 많다 보니 레이더 주파수나 각종 암호체계 등이 너무 많이 노출되어 전자파 교란, 재밍(Jamming)에 특히 약하다는 점이 얼마 전 파키스탄/인도 공군간 공중전에서 명확하게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새로이 만들어지는 국산 공대공 미사일은 외부로 노출된 정보들이 거의 없기에 전자전에 교란 당할 리스크가 극적으로 낮아집니다. 일본도 그런 이유에서 99식 공대공 유도탄 AAM-4를 개발한 것입니다.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공대공, 공대지, 공대함 무장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면 KF-21을 운용하는 우리 공군은 말할 것도 없고 KF-21을 도입하는 해외 국가들이 장착할 무기체계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는 확고한 메시지가 되며 이는 KF-21 수출에 있어서도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Naval News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국내 무기체계들의 가성비가 될 텐데요. 그러나 지금까지 대한민국 무기체계들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던 부분이 바로 이 가성비분야였습니다.

 

기사 내용 중에서도 읽을 수 있지만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이미 그 답을 찾은 듯 하네요. 바로 초음속 대함 미사일과 공대지 미사일 그리고 공대공 미사일 등에 '동일한 설계를 적용하지만 그 크기만을 줄이는' 접근법을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식으로 우리나라 개발진들이 앞으로도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더 좋은 방법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해외 기사 원문 링크    

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1/02/new-supersonic-anti-ship-missile-for-south-koreas-KF-21-breaks-cover/

 

 

이 포스팅을 유튜브 영상으로 보고 싶다면     https://youtu.be/P1zzYkVygG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