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72

더욱 강력해진 개량형 A2로 자주포 종주국 영국의 차기 자주포사업에 도전하는 K9썬더! 대한민국, 많이 컸네 자주포(self-propelled artillery)와 주력전차(Main Battle Tank)가 헷갈리던 때가 있었습니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탱크가 있는데 왜 자주포가 필요한지 이해하지를 못했던 때가 있었던 것이죠. 제 경우를 비추어보자면 고대 전쟁에서 자주포와 주력전차가 맡았던 역할을 대입시켜 보면 쉽게 이해가 되었습니다. 말하자면 공성전을 책임졌던 투석기나 궁병의 역할을 맡은 것이 자주포이고 기동력과 돌파력을 활용하여 적의 진형을 유린했던 중장갑 기병의 역할을 계승한 것이 주력전차라고 볼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주력전차들이 사용하는 전차포는 강력한 운동 에너지를 무기로 하는 날개안정분리철갑탄(APFSDS) 약칭 ‘날탄’을 사용하여 적 전차를 무력화 시키는 전술을 사용합니다. 대신 사거리가.. 2021. 8. 14.
필리핀 바다를 지키고 있는 대한민국의 전투함들! 오늘 여러분과 함께 만나볼 여든 두 번째 해외 밀리터리 뉴스는 바로 필리핀인들을 열광시키고 있는 대한민국이 만든 전투함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필리핀은 7,600개에 달하는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 국가이지만 최근 들어 중국이 남중국해로 영향력을 확장시키면서 필리핀은 자국의 주권과 해양 영토를 지키는데 골머리를 앓고 있는 중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필리핀 국내 반군을 진압하는 동시에 점점 높아지고 있는 중국과의 긴장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군 현대화 5개년 계획을 추진해왔습니다. 사실 필리핀뿐만 아니라 동남아 국가 대부분이 커져만 가는 중국의 위협에 고민을 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필리핀 이외의 동남아 국가에서 대한민국이 만든 무기들은.. 2021. 8. 11.
화력 시범에서 맞붙은 AS 21 레드백과 KF 41 링스! 레드백에게 전화위복이 되어준 요소는? KKMD 301화 『세계가 다시 주목하고 있는 대한민국 검독수리 T-50: KF-21 보라매에서도 이어질 그 성공 원인의 분석!』 편에서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 판매되었던 T-50 골든 이글과 경전투기 파생형 FA-50이 쌓아 올린 “Made in Korea”에 대한 신뢰가 어떻게 KF-21 보라매 판매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입 소문만 탔을 뿐 음식은 별 볼일 없는 맛집과 진짜 맛집을 구분할 수 있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재 방문 의사”입니다. 방산무기 수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번 샀던 고객들로 하여금 돌아보고 다시 사게 만들었다는 사실이 진정한 명품임을 입증해 주는 증거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최근 T-50이 다시 구매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 한국항공.. 2021. 8. 9.
미국도 인정한 신(新)전차강국으로 떠오른 대한민국 K-2전차! (러시아가 대단히 싫어합니다) 지난 2020년 2월 14일, 미국의 국방 전문매체 National Interest는 대한민국 주력전차 K-2 블랙팬서의 폴란드 수출에 대한 기사를 실었습니다. (2022년 2월 현재 폴란드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미국 M1A2 에이브람스 250대를 긴급 도입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현재 러시아의 위협에 직면한 폴란드는 훨씬 더 많은 전차 병력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폴란드와 현대로템이 합작해서 만들려는 K2 PL의 가능성은 아직 사그라들지 않았습니다. 역주) “BOOM: Why South Korea's K2 Black Panther Tanks Are Headed To Poland” ‘대인기! 왜 대한민국의 K-2 블랙팬서는 폴란드로 향했을까?’ 정도로 해석되는 헤드라인이 붙은 이 기사에는 조그만 부제.. 2021. 8. 7.
[National Interest] 대한민국 자주국방에 큰 도움을 준 불곰국 러시아의 T-80과 불곰 사업! 함께 살펴볼 이야기는 바로 미국의 보수적 성향의 국방매체 National Interest가 지난 9월 17일에 게재한 기사 내용입니다. 공산권 국가 북한이 아니라 자유 민주국가인 대한민국이 러시아의 T-80 전차를 실전에 배치하여 운용하고 있는 아이러니를 다루고 있는 기사인데요. 미국 사람들 입장에서는 꽤나 호기심을 돋게 만드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최근 대한민국의 경제력과 군사력 그리고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해외 외신들이 우리나라의 이야기를 다루는 빈도가 확실히 올라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데요. 공산권 국가 북한이 아닌 대한민국이 한때 공산권 국가의 종주국이었던 러시아의 주력 전차를 운용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재미없을 리가 없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서도 모르는 사람들이 상.. 2021. 8. 6.
북한에 가려진 한반도의 또 다른 미사일 강국, 대한민국 최근 들어 K-2 블랙팬서 주력전차나 K-9 썬더 자주포 그리고 비호복합 같은 국산육군 무기들이 세계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고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과 KSS-III 디젤 전기 추진 잠수함 같은 해군 무기 체계들을 직접 만들어 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T-50 / FA-50같은 우리나라가 직접 생산해 내는 훈련기 겸 공격기도 200대 이상 생산되고 있다는 사실은 익히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정도로 강점을 지니고 있는 분야가 하나 더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는 외신기사가 있습니다. 심심하면 미사일을 동해로 서해로 쏴대서 세계의 주목과 관심을 끌고 있는 북한 덕분에 그 누구도 주목하고 있지 않은 ‘미사일 강국’. 그리고 어떻게 보면 천방지축으로 설치는 북한 덕분에 미국의.. 2021. 8. 5.
세계가 다시 주목하고 있는 대한민국 검독수리 T-50: KF-21 보라매에서도 이어질 성공 원인의 분석! 지난 번 300화 특집 영상을 통해 KF-21 보라매가 5.5세대 전투기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해 봤습니다. 뛰어난 스텔스 능력과 데이터 융합능력을 지닌 5세대 전투기에 6세대 전투기들의 특징으로 회자되고 있는 일부 기능들, 예를 들면 인공지능과 레이저 무기 혹은 유무인 복합기능 등이 적용된 전투기를 5.5세대 전투기라고 부를 수 있는데요. KF-21이 5.5세대 전투기가 된다고 단언하는 내용이 아니라 그럴만한 잠재력을 지닌 전투기라는 점을 설명하고 있는 해외기사였고 KF-21의 장점뿐만 아니라 KF-21이 지닌 명확한 한계까지도 지적하고 있는 해외기사였기에 제 관심을 끌었습니다. 제가 평소에 생각하고 있던 내용을 잘 정리해 놓은 기사였기 때문이죠. 하지만 ‘아직 날아보지도 않은 KF-21을 두.. 2021. 8. 5.
대한민국의 K2 블랙 팬서가 미국의 M1A2 에이브럼스 보다 더 뛰어난 탱크인가? 오늘 여러분과 함께 여든 다섯 번째로 살펴볼 이야기는 미국 집단지성 사이트 쿼라(Quora)에 올라온 우리나라가 만든 세계적 수준의 주력전차 K2 블랙 팬서, 흑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질문자는 K2 Black Panther와 미국 육군이 쓰는 주력 전차 M1A2 Abrams 중 어느 쪽이 더 나은 전차인지를 물었습니다. 여기에 대한 답변들 중 162명의 지지를 받은 라이언 파킨슨(Ryan Parkinson)의 답변을 번역할 예정입니다. 라이언 파킨슨은 콜로라도 대학을 졸업했으며 기술 관련 서적을 집필하는 기술 작가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2와 에이브럼스 중 어느 쪽이 더 우수하냐고? 그 질문을 하기 이전에 "어떤 측면에서" 더 뛰어난 전차인지.. 2021. 8. 4.
[300회 특집] 항공전문지 Aviacionline 분석: 5.5세대로 진화 가능한 유일한 4.5세대 전투기 KF-21! (6세대를 준비중인 대한민국?) 공군본부는 최근 '유/무인 전투임무기 복합체계 임무효과도 분석 및 한국형 차세대 전투임무기 구축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습니다. 발주된 연구용역의 내용을 살펴보면 “한반도 전장 환경에 최적화된 유/무인 전투임무기 복합체계에 적합한 항공기 편성과 소요량 도출 및 유/무인 전투임무기의 단계별 구축방안 제시”입니다. 더 흥미로운 점은 공군본부가 KF-21 이후에 등장할 6세대 전투기에 대한 구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입니다. 보통 15년 이상 걸리는 전투임무기 획득기간을 생각해 본다면 지금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고 선언한 것이죠. 남미에 기반을 두고 있는 항공 전문지 Aviacionline.com은 15년 뒤인 203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NGAD 같은 6세대 전투기들이 등장할 가능성이 크고 20.. 2021. 8.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