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해군 무기체계95

가성비 폭망 헌터급을 보완하라! 호주 2선급 전투함 수주전에서 일본 모가미급과 격돌하는 대한민국 충남급(FFG-III) 호주에서 게재되는 밀리터리 뉴스들을 번역하다 보면 스스로를 ‘Island” 즉, 섬으로 설명할 때가 많습니다. 5대양 6대주에도 포함되는 호주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섬으로 부른다는 것이 얼핏 이상하게 느껴지지만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에 착안한다면 섬이라고 불러도 무방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4년 2월 20일, 저명한 해군군사전문지 Naval News는 호주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헌터급 호위함을 보완하기 위해 2선급(Tier 2) 전투함 11척을 해외에서 도입할 예정이며 독립적인 분석기관에 의뢰해 4종류의 후보를 선정했는데 대한민국의 충남급이 여기에 포함되어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해군 소식에 정통한 전문가와 이 기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해 보았는데요. 개인적으로 『호주는.. 2024. 5. 23.
K-방산의 성장에 만족한 미 해군: 美 인도-태평양함대 전투함 및 무기의 수리 정비를 한국에 맡기고 싶다 우연하게 기회에 진해 해군 기지를 방문하여 대한민국 해군 방위산업의 현주소에 대한 강의를 했던 적이 있습니다. 짧은 강의를 마친 뒤 차량을 타고 해군 기지를 둘러볼 수 있는 기회도 가졌는데요. 직접 바다로 나가 작전을 펼치는 수상 전투함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수리하고 정비해 줄 수 있는 ‘군항’이 얼마나 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지 여부 또한 해군 전투력 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외신을 번역하다가 “육군 양성엔 10년, 공군 양성엔 30년 그리고 해군 양성에는 100년이 필요하다”는 격언을 접했던 적이 있습니다. 최첨단 기술로 구성되는 공군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30년이라는 말은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 있는데 제대로 된 해군을 양성하는데 무려 100년이라는 시간이 .. 2024. 4. 23.
[중국반응] KDDX 경보! 동북아에 파란을 일으킬 차세대 한국형 이지스 구축함 KDDX를 경계하라 2024년 2월 6일,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에도 국산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KM-SAM) 천궁2가 수출된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지난해 2023년 11월 이미 성사된 계약이었지만 그 동안 외부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가 한국-사우디 국방장관 회담을 계기로 발표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한국 LIG넥스원과 사우디아라비아 국방부 간에 체결된 이번 계약의 규모는 32억 달러, 한화 약 4조 2,5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관련 외신을 찾아봤지만 아직 공개된 지 채 24시간이 지나지 않은 상황이라 한계가 있었습니다. 다만 미국 매체 워싱턴 타임즈(Washington Times)가 이번 사우디아라비아 천궁2 판매 성공과 관련해서 쓴 소리를 했는데요. 비록 한국이 사우디에게 4조원대의 천.. 2024. 4. 9.
잠수함용 VLS에 AIP, 리튬이온전지까지! 첨단 KSS-3에 깜놀한 폴란드: 한국, 도대체 못 만드는 게 뭐야? 최근 우연히 tvN 토크쇼 프로그램 ‘유 퀴즈 온더 블럭’에 출연한 국제정세 전문가 김지윤 박사가 “경제력 세계 11위, 군사력 세계 6위의 대한민국은 이제 나름 강대국의 위치에 올랐고 그에 걸맞은 책임을 져야 할 시기가 되었다”고 언급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김지윤 박사의 견해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적어도 한 가지 부분은 확실합니다. 이제 대한민국은 육해공 플랫폼을 자체 능력으로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극소수 나라들 중 하나가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항공 엔진이나 기타 핵심기술 분야에서 여전히 대한민국은 해외수입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에서 동의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일리가 있는 의견입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외교력이나 동맹국들을 통해 항공 엔진이나 핵심 기술을.. 2024. 2.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