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폴란드31 [폴란드 반응] 복좌형 KF-21 시제 4호기 비행성공에 큰 관심을 보인 폴란드 언론: KF-21의 미래, 유무인 복합체계! 오늘 소개할 기사는 폴란드 매체 콘플리크티 Konflikty가 2023년 2월 20일 게재한 기사입니다. KF-21 복좌식 시제 4호기가 34분간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는 기사인데요. 개인적으로 2명의 조종사가 탑승하는 복좌식 KF-21의 초도 비행 성공은 좀 더 큰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프로파일럿’에 출연한 정광선 전 한국형전투기사업단장은 ‘KF-21 보라매의 최종 형태가 꼭 스텔스 전투기로 귀결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는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얼핏 들으면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발언이지만 정광선 전 사업단장은 미래 전장 환경을 예상해 봤을 때, 독자적으로 작전에 임하는 스텔스 전투기보다는 뛰어난 스텔스 성능을 지닌 무인기와 협동하여 작전에 임할 수 있.. 2023. 9. 7. [폴란드 반응] Orka(범고래) 조달프로그램에 다크호스로 등장한 KSS-III 도산안창호급: KF-21 보라매에 이어 잠수함까지? 2023년 7월 13일 로이터(Reuter) 통신은 바르샤바에서 만난 한국-폴란드 양국 정상들이 “추가적인 무기수출 계약에 동의”했다고 전했습니다. 국내 언론 연합뉴스도 같은 날짜에 “폴란드는 한국산 무기를 추가로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한국은 폴란드 농산물을 수입하기로 협의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죠. 흥미로운 점은 그로부터 나흘 뒤인 2023년 7월 17일 폴란드의 군사 전문매체 Defence24가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국방부 장관이 트위터에 게재한 글을 인용하며 한국형 공격잠수함 KSS-III 도산안창호급의 도입 가능성을 시사하는 기사를 게재했다는 사실입니다. 폴란드 안제이 두다 대통령이 “한국산 무기를 추가로 도입하겠다”고 언급한 직후 수면 위로 떠오른 KSS-III 도산안창호급 도입설은 우.. 2023. 8. 4. FA-50 블록20 진행 상황은? 폴란드 관점에서 본 한국-폴란드 방산협력 세미나 현 폴란드 안드레이 두다(Andrzej Duda) 대통령은 지난 2020년 재선에 성공한 인물입니다. 안드레이 두다 대통령은 러시아와 접경하고 있는 폴란드 동부 농촌 지역과 보수층에 정치적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러시아의 안보 위협에 대단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국방력 강화를 주문하고 있습니다. 폴란드가 2022년 K2 흑표 주력전차 1,000대와 K9A1 자주포 670여문 FA-50PL 48대를 주문한 배경에도 안드레이 두다 대통령의 영향이 컸으며 대한민국의 신속한 조달에도 만족감을 표시하고 있죠. 하지만 폴란드 정치 지형을 들여다보면 K-디펜스에 대한 만만치 않은 장애요소들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안드레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2020년 재선에 성공했지.. 2023. 7. 30. [K2 in 폴란드] 대체가 불가능한 주력전차 K2PL, 현지 양산을 위한 컨소시엄이 설립되다: 순항 중인 현대로템 K2PL! 며칠 전인 2023년 3월 31일 폴란드 올지시-베모보 피스키(Orzysz-Bemowo Piski)에 위치한 사격 훈련장에서 K2흑표의 사격 능력을 폴란드 국민들에게 선보이는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국방장관은 K2PL 주력전차를 폴란드에서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현대로템과 컨소시엄을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언론에서 흔히 1,000대라고 알려진 K2흑표 주력전차 수출 물량 중 초도 물량으로 폴란드에 인도되는 180대의 K2흑표 GF(Gap Filler)를 제외한 나머지 900여대 물량에 대해서 아직 섣부른 판단을 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K9 자주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의견들이 나오고 있죠. ‘아니 땐 .. 2023. 6. 2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