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68

가성비 폭망 헌터급을 보완하라! 호주 2선급 전투함 수주전에서 일본 모가미급과 격돌하는 대한민국 충남급(FFG-III) (674화) 호주에서 게재되는 밀리터리 뉴스들을 번역하다 보면 스스로를 ‘Island” 즉, 섬으로 설명할 때가 많습니다. 5대양 6대주에도 포함되는 호주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섬으로 부른다는 것이 얼핏 이상하게 느껴지지만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에 착안한다면 섬이라고 불러도 무방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4년 2월 20일, 저명한 해군군사전문지 Naval News는 호주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헌터급 호위함을 보완하기 위해 2선급(Tier 2) 전투함 11척을 해외에서 도입할 예정이며 독립적인 분석기관에 의뢰해 4종류의 후보를 선정했는데 대한민국의 충남급이 여기에 포함되어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해군 소식에 정통한 전문가와 이 기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해 보았는데요. 개인적으로 『호주는.. 2024. 9. 23.
우크라이나, 터키에게 엔진기술 이전하고 TF-X를 제공받는다? Defence24 보도, 얼마나 현실성 있을까? (673화) 2024년 2월 18일, 폴란드 군사전문매체 Defence24는 바실 보드나르(Vasyl Bodnar) 터키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의 말을 인용해 “우크라이나가 터키 TF-X 칸에 탑재할 엔진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대가로 TAI 칸(Kaan)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탑재할 엔진을 찾을 수 없어 애를 먹고 있는 TAI 칸(Kaan)에게 있어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문제는 TAI 칸(Kaan) 시제기에 탑재된 엔진은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이 만든 F110 계열 엔진이라는데 있습니다. 사실 터키는 TAI 칸(Kaan)에 탑재할 엔진을 자체 생산하기 위해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뿐만 아니라 유로젯(Eurojet)과 롤스 로이스(Rolls Royce)와도 접촉을 시도해 왔습니다. 하지만 항공.. 2024. 9. 22.
[인도 반응] ADEX 2023에 등장한 신형 사거리연장탄(ERM)과 K9썬더: 중국을 상대하는 인도군 전력향상에 크게 기여하다! 야포와 기병 및 보병 위주로 이루어지던 전투 양상이 극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기점은 제1차 세계대전이었습니다.  아직 어설픈 단계이기는 했지만 전차와 전투기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죠. 그렇지만 역사 자료를 찾아보면 이 때까지만 해도 여전히 야포와 함포가 가장 강력한 공격 및 방어 수단이었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부터는 전장 상황이 완전히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던 미군의 M110 8인치 자주곡사포의 사정거리가 불과 17㎞를 넘어가지 못한 것에 비해 미 육군 항공대가 운용했던 주력 폭격기 B-17 플라잉 포트리스(Flying Fortress)의 경우 수천㎞가 넘는 항속거리를 자랑했던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제공권을 장악한 나라가 절대적인 우.. 2024. 6. 26.
F-16을 매개로 한 KF-21 보라매와 라팔(Rafale)의 성능비교! 승부의 관건은 OOO에 달려있다? 꽤 오래 전부터 기획하고 있던 영상이 하나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자존심 라팔(Rafale)과 그의 최고 라이벌로 떠오른 대한민국 KF-21 보라매를 비교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요. 그러나 KF-21 보라매는 아직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인 기체이기 때문에 라팔(Rafale)과 비교하는 해외 전문가들의 글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도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에 라팔(Rafale)과 F-16을 비교하는 내용들은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다는데 생각이 미쳤습니다. 개인적으로 F-16에 스텔스 성능을 가미하고 첨단 기술을 투입해 대형화시킨 결과물이 KF-21 보라매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몇 번 말씀 드린 적이 있는데요. 라팔(Rafale) Vs F-16이라는 주제의 글에 F-16 대신 KF-.. 2024. 6. 21.
USB에 중요 데이터는 없다지 않나? 적반하장격 인니 언론과 미래의 주력 KF-21 도입에 불똥 튈까 걱정인 인니 공군 2024년 2월 2일 방위사업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근무하던 인도네시아 기술자가 KF-21 관련 내부자료가 담긴 USB를 외부로 반출하려다 적발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KF-21 보라매 개발 분담금 체납 문제 때문에 인도네시아를 향한 시선이 곱지 않을 때 발생한 이번 사건이 어떻게 마무리되는가에 따라 KF-21 인도네시아 수출에 적지 않은 변수가 발생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번 USB 사건에 대한 인도네시아 현지 언론의 보도 태도를 파악해보고자 인도네시아 언론 Zona Jakarta를 검색해 봤는데요. 방위사업청 발표가 있었던 2월 2일 당일 관련 보도를 실었습니다.  해당 기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지난 2023년 12월 2.. 2024. 6. 20.
예비역 공군 파일럿이 설명해주는 KF-21 고받음각 비행능력의 비밀: 근접 공중전 능력, 고받음각 비행능력에 달려있다? 2024년 1월 31일, 방위사업청은 KF-21 보라매 관련 영상 하나를 업로드 했습니다. 지난 1월 12일, KF-21 시제 2호기가 고받음각 조종안정성 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내용의 영상이었는데요.   High Angle of Attack 줄여서 High AOA라고 불리는 고받음각 비행 테스트 성공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궁금한 부분이었고요.  KF-21 보라매에 정통한 전문가에게 문의해볼까 하다가 직접 전투기를 조종해 왔고 관련된 전문 교육을 받은 공군 조종사 이상의 전문가는 없을 것이라는데 생각이 미쳐 전직 공군 조종사 출신 인사에게 인터뷰를 요청해 보았습니다.  FA-50 그리고 KF-21 보라매에 많은 애정을 보.. 2024. 6. 19.
[美 Defense News] 한국 현대중공업(HHI), 페루 해군용 신형 전투함 4척 건조계약 수주하다 현대 중공업이 페루 해군에 전투함 4척을 건조하여 인도하는 계약을 최종적으로 확정 지었다고 미국의 군사전문지 Defense News가 2024년 4월 19일 보도했습니다.  Defense News의 보도에 따르면 한화 6,380억 규모에 달하는 이번 계약은 대구급에 기반을 둔 3,400톤급 첨단 유도미사일 호위함 1척, 2,200톤급 연안 경비함 1척, 1,500톤급 상륙함 2척을 건조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 더해 Defense News는 페루 해군이 총 23척의 신형 전투함을 건조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가치는 4조 1,300억 이상이 될 수 있다고 보도하고 있는데요. 현대 중공업이 이들 중 4척을 먼저 수주한 것입니다.  이 4척의 전투함들 중 페루 해군이 가장 공을 들이.. 2024. 6. 18.
[美 월 스트리트 저널] 세계 방산수출시장의 거인으로 변신하고 있는 대한민국, 서방 국가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경제 분야 뉴스에 중점을 둔 미국의 종합 일간지 월 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은 지난 2023년 9월 18일 “How South Korea is Transforming Into a Weapons Export Giant? (대한민국은 어떻게 세계 방산수출시장의 거인으로 변신하고 있나?)라는 제목의 짧은 영상을 유튜브에 공개했습니다.  WSJ라고도 불리는 월 스트리트 저널은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와 함께 세계 경제전문지의 양대 산맥으로 통하고 있죠. USA 투데이와 함께 미국 전역에서 발간되는 단 두 개의 전국 단위 일간지인 동시에 뉴욕 타임즈 및 워싱턴 포스트와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언론으로 손꼽히는 곳이 월 스트리트 저널이기도 합니다.  이런 월 스트리트 저널이 대한민국을 .. 2024. 6. 17.
중형 전투기 KF-21이 경량 전투기 F-16C/D와 동일한 무장탑재력을 지니게 된 이유: 전문가가 들려주는 놀라운 KF-21 이야기! 전투기에게 있어 우수한 기동성(maneuverability)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멀리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적기를 격추시키는 시계 외 공중전(BVR)이 보편화되면서 첨단 전투기에 근접 공중전(Dogfight) 능력과 우수한 기동성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한참 동안 구글링을 했는데요. 운 좋게 미국의 집단지성 사이트 쿼라(Quora)에서 1999년부터 2013년까지 미 해군 조종사로 근무했던 애덤 데이뮤드(Adam Daymude)가 써놓은 글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가 전투기의 기동성과 관련하여 써놓은 글을 잠깐 소개해 보겠습니다.  『전투기를 멀리서 손쉽게 격추시킬 수 있는 BVR 미사일.. 2024. 6.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