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육군 무기체계122 [Defense News] 명품 자주포 K-9썬더, 수출에 방해되던 독일산 엔진을 국산화하고 세계시장 공략에 나서다! 독일산 파워팩을 심장으로 달고 있는 K9 자주포는 1999년부터 전력화 된 무기체계입니다. 벌써 20년이 지났죠. 1세대 K9 자주포에 장착된 파워팩의 수명이 2030년이면 한계점에 도달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최근 들어 이 독일산 파워팩 때문에 K9 자주포를 일부 국가에 수출하는데 장애가 발생하는 사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독일은 무기수출에 대하여 정치적으로 깐깐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한 나라입니다. 특히 무기수출이 인권과 관련된 경우에는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2022년 3월 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독일이 변신하고 있습니다. 그에 관련된 소식들은 추후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역주) K9을 최초로 도입한 나라의 터키의 경우에도 꽤나 흥미로운 뒷이야기가 .. 2022. 3. 6. [National Interest] 대한민국 육군, 북한과 중국의 대규모 보병을 상대할 새로운 탱크 킬러를 대량생산한다? 120㎜ 자주박격포에 주목하라! 지금 현재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는 북한과 더불어 통일 이후 우리나라와 직접적으로 국경을 맞대게 될 잠재적 위협 국가가 바로 중국이라는 것이 군사 전문가들 및 국제정세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동시에 북한과 중국은 엄청난 규모의 육군을 보유하고 있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죠. 요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보고 있노라면 중국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미국에서 발간되는 국제정세 및 국방 전문지 National Interest는 2020년 9월 11일 다음과 같은 제목의 기사를 게재합니다. “South Korea Has a New Way to Kill North Korea's Tanks (대한민국은 북한의 탱크를 파괴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확보하게 되었다)” .. 2022. 3. 5. [Defense News]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다급해진 폴란드: 현대로템 K2PL 폴란드에 입성할 수 있을까? ※ 이 포스트가 게재되었을 당시에는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이 가장 큰 이슈였지만 2022년 3월 3일 현재 러시아가 아예 우크라이나를 직접 침공한 상태입니다. 이를 감안하고 읽어 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2020년 9월 10일 미국계 군사전문지인 Defense News.com이 전하고 있는 외신 내용을 분석해보면 핵심적인 키워드가 바로 『러시아』와 『신형 주력전차』라는 두 단어입니다. 얼마 전 191화에서 이미 언급되었던 이야기입니다만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크림 반도 강제합병에 따른 군사적 긴장 상황이 동유럽 국가들 사이에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특히 전통적으로 러시아와 대립 관계를 유지해 오던 폴란드에게 있어서는 피부로 다가올 만큼 선명하게 느껴지는 위협이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2022. 3. 3. [Defence connect] 호주 언론이 직접 밝힌 K9자주포 수입 이유. 성능, 가격도 최고지만 호주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했다! 호주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는 대한민국과의 경제적, 군사적 협력관계를 지금보다 더 긴밀하게 발전시켜 나가야만 하며 가장 효과적인 방편 중 하나가 바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과 저렴한 가격을 자랑하는 대한민국의 방산 무기들을 수입하는 것이다. KKMD 190화 『방산 선진국 대한민국과의 동맹 구축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호주언론. 美中 냉전에 몸값 오르는 한국? (AS-21 Redback 판매 청신호)』 편에서 제가 설명 드렸던 빌 패터슨의 주장입니다. 주한 호주대사를 역임했고 지금은 호주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전략정책 연구소 ASPI의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빌 패터슨은 최근에 편찬해낸 보고서에서 AS-21 Redback 보병전투장갑차 사업과 K9 자주포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죠. 이를 .. 2022. 2. 25.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