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항공우주118 [War Zone] 美 군사 전문지의 KF-21 보라매 분석기사 1부: Amazing Koreans,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다! ※ 이 포스팅은 KF-21 보라매 시제 1호기가 초도 비행을 하기 이전에 작성된 것입니다. 한 일반 시민이 카메라로 잡은 KF-21 보라매가 활주로로 이동한 후 질주하는 모습이 유튜브로 공개된 후 마음속으로 짚이는 부분이 있어 구글로 외신들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많은 외신들이 이 영상을 다루고 있었는데요. 단편적인 이야기만을 하고 있는 외신들이 많아서 권위를 자랑하는 정통 군사 전문지가 이에 대한 언급을 할 때까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7월 5일 미국의 정통 군사 전문지 War Zone에서 KF-21의 활주로 기동을 다루는 아주 긴 내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4년 이상 해외 군사 전문지를 번역하다 보니 각 군사 전문지들의 특징을 어느 정도 파악하게 되었는데요. War Zone.. 2022. 12. 4. [Aerotech News] 록히드 마틴이 KAI와 새로운 협정을 맺은 이유: 록히드는 왜 FA-50을 밀어줄 수 밖에 없었을까? 국내 증권 관련 기사들이 록히드 마틴과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간에 새로운 협정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다루기는 했었습니다. 하지만 아쉬울 것 없는 록히드가 무엇 때문에 KAI와 FA-50(T-50)에 관해 새로운 협정을 맺었는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알 수 없을 만큼 짧은 기사들이었죠. 물론 오는 2024년 시작될 것으로 알려진 약 280대 규모의 미 공군 고등전술훈련기(ATT)사업과 220대 규모의 미 해군 훈련기 사업을 대비하기 위한 협정이라는 점은 국내 기사들도 명시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사를 통해서 KAI가 FA-50의 탁월한 성능과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경전투기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록히드 마틴과의 새로운 협정체결이 가능했던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 수 있었지만 정작 록.. 2022. 11. 26. [KED Global] 러시아의 오판이 만들어준 기회: 중동 시장에서 러시아 대신 점유율을 높여가는 'K-디펜스'! 사우디, 1조 2천억 스타트를 끊다 최근 들어 ‘K-디펜스’라고 불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방산업에 대한 해외 기사들을 찾다 보면 군사 전문지가 아닌 경제 전문지에서도 밀리터리 분야를 많이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군산 복합체(Military–industrial complex)라는 단어가 생겨날 정도로 국방은 산업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뜻이기도 한데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국제적으로 광범위한 규모의 경제적, 산업적, 정치적 제재를 받게 되었고 그 여파로 전통적으로 러시아 무기 구매를 선호해 왔던 국가들이 그 대안으로써 대한민국 방산 시스템을 고려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이라는 내용의 분석기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어떤 나라가 되었든 많은 생명을 희생시키고 삶의 터전을 황폐화시키는 전쟁은 정당화.. 2022. 11. 17. [Flight Global] 유무인 복합체계(MUM-T)의 등장으로 뒤늦게 재평가 받고 있는 LAH, 영하30도 혹한기 테스트를 통과하고 실전배치를 준비하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개발하고 있는 소형 무장헬기 LAH는 올해 2022년 8월까지 ‘전투용 적합판정’을 획득하고 연말부터는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 내년 2023년부터 전력화 과정에 돌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개발완료가 얼마 남지 않은 무장헬기치고는 이상할 정도로 LAH에 대해 알려지고 있는 내용들이 얼마 없습니다. LAH가 북극권과 인접한 캐나다 옐로나이프에서 극저온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내용도 외신을 통해서나 알 수 있을 정도로요. 심지어 LAH를 인도받게 될 육군항공대는 이렇다 할 제식 명칭도 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시제기가 등장하면서 KF-21이라는 제식 명칭을 부여 받으며 전 국민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KF-X에 비한다면 확연하게 다른 분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여러 자료들을 통해.. 2022. 11. 15. 이전 1 ··· 3 4 5 6 7 8 9 ··· 3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