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FA-50123

[Flight Global] T-X 좌절을 딛고서 FA-50에 집중하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프랑스가 만든 전투기 라팔의 최고 속도 마하 1.8보다 조금 떨어지는 수준인 최고 속도 마하 1.5의 전투기.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이라고 일컬어지는 MBDA의 미티어 미사일 혹은 미국의 AIM-120 AMRAAM을 장착한 동시에 능동전자 주사배열(AESA)레이더를 사용하여 장거리 시계 외 공중전을 할 수도 있고 사정거리는 다소 줄어들겠지만 강력한 공대지 미사일 벙커버스터 타우러스 경량화 버전을 장착할 수도 있는 전투기. 2000년대 항전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F-16의 유전자를 공유하여 작지만 빠른 기동성을 지닌 전투기. 개인적 생각으로 이 정도 성능에 가까운 가장 유명한 전투기로는 스웨덴 사브(Saab)사의 그리펜(Gripen) C/D가 떠오릅니다. 물론 그리펜 시리즈는 C/D를 거쳐 그리펜 E/F로 진.. 2022. 2. 5.
[MWM] KF-21에 장착되는 최강의 BVRAAM 미티어(Meteor)! FA-50도 장착할 수 있는 국산 공대공 미사일 개발에 도움주나? 2019년 12월 2일, 해외 유명 밀리터리 사이트인 Military watch magazine.com은 “South Korea’s New Stealth Fighters to Deploy European Meteor Missiles.” 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합니다. 미국의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AMRAAM을 제치고 유럽 방산업체인 MBDA의 미티어(Meteor) 공대공 미사일이 KF-21에 장착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사실 KF-21 개발 초기에 미국은 개발 중인 전투기에는 AMRAAM의 통합을 승인한 전례가 없다는 점을 들며 통합을 거부하여 혼란을 야기했었습니다. 어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소극적인 의미의 KF-21 개발 방해' 라고 정의하기도 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다른 방향의 출.. 2022. 2. 2.
[Kevin’s 패치워크] 마하 1.5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 파이팅 능력! 미 공군이 FA-50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바로 그 이유 4세대 이후 현대 전투기 설계의 기본이 되는 공통된 특징들 중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요소 하나를 고르라면 초음속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고추력 기반 기동 전투를 설계이념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전투기를 전문분야로 하고 있는 업계 전문가와 FA-50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던 도중 미 공군이 FA-50 사양의 T-50A를 (미 공군은 TF-50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고등전술훈련기로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 서로의 의견을 공유한 적이 있습니다. 전투기를 설계하는데 있어 마하 1.5~1.6의 속도는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고 합니다. 항공역학(Aerodynamics)상 마하 1.6 이상의 속도에서는 극히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 전투기들의 민첩성이 오히려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F-35는 .. 2022. 1. 22.
[Kevin’s 패치워크] 안타까운 순직: 40년 묵은 T-38의 배다른 형제 KF-5 를 10년 더 쓰겠다는 공군! FA-50 블록20는 놔뒀다 어디에 쓰려나? 2022년 오후 1시 44분경, 수원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F-5E 제공호 한대가 화성 부근의 태봉산에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기체가 이륙한 직후 좌우 엔진화재 경고등에 불이 켜졌고 이어 전투기의 기수가 급강하 하였으며, 조종사인 심 모 대위는 2차례 비상탈출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고 결국 순직하고 말았습니다. https://youtu.be/VgZjZ732X-A KKMD 게시판을 통해 많은 시청자 여러분들께서 이러한 사고의 위험성을 이미 여러 번 지적해 오셨습니다. 문제의 KF-5E 는 노스롭 그루먼의 전신, 노스롭이 개발한 N-156 초음속 경전투기의 파생형입니다. N-156을 훈련기로 만든 것이 바로 미 공군이 사용하고 있는 T-38 탈론이죠. 도입된 지 40년이 훌쩍 넘은 .. 2022. 1.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