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68

탑건 매버릭이 탔던 전투기이자 세계 최강의 함재기였던 F-14 톰캣, 오성홍기 달고 중국 전투기 될 뻔했다? 2022년 개봉한 영화 “탑건(Top Gun): 매버릭”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루스터(Rooster)와 함께 적진에 고립된 매버릭(Maverick)이 이제는 박물관에 전시되어야 할 만큼 낡은 F-14 톰캣을 조종해서 항모로 귀함하는 장면이었습니다. 사실 영화 전반부에 워록(Warlock)이 임무 브리핑을 할 때, Su-57로 추정되는 5세대 전투기와 함께 F-14 톰캣의 모습이 살짝 스쳐 지나가는 것을 보면서 혹시 복선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짐작이 틀리지 않더군요. 현재 F-14 톰캣을 실제로 운용하고 있는 공군은 이란 공군뿐이기 때문에 5세대 전투기와 함께 등장한다는 설정이 말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 영화적 상상력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좀 찜찜했는데요.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부.. 2023. 11. 20.
[일본 반응] 한국형 ‘리퍼’ MUAV 양산에 1조원을 투자하며 앞서가는 대한민국: 우리(일본)도 이제 10조원을 투자할거라고! “(무인기) 분야에서 일본은 아직 늦지 않았다고 말하는 녀석들은 현실을 직시해라! 몇 년 전부터 기초적인 연구는 하고 있었다는 말 같은 것은 아무래도 좋아. 지금 (무인기 분야에서) 일본은 세계에 뒤쳐지고 있어. 돈을 지불하고 다른 나라에서 기술을 도입해도 좋으니까 제발 속도감을 가졌으면 좋겠다” 일본의 군사 전문블로그 항공만능론GF에 대한항공이 개발한 중고도 장기체공 무인정찰(MALE)형 전투용 무인드론(UCAV) KUS-FS의 양산이 결정되었다는 기사가 2023년 8월 21일 게재되었고 이와 관련된 다른 기사에 일본 네티즌 한 명이 달아놓은 댓글 내용입니다. 68명이나 되는 일본 밀리터리 매니아들로부터 ‘좋아요’를 받은 댓글입니다. 대한민국은 KF-21 보라매 같은 전투기를 자체 능력으로 개발하고 F.. 2023. 11. 18.
고성능/고비용화 되고 있는 美 전투기 개발정책의 빈틈: KF-21 보라매, 최고의 가성비로 제2의 F-16을 노려라! 미리 예고했던 대로 오늘 포스팅은 미국의 국제정세 전문지 Foreign Policy가 지난 8월 14일 게재한 기사 『The Fighter Jet Market Enters Its Multipolar Era. Can the F-35 and the United States keep up with new competition?』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을 전달하는 내용이 될 것입니다. 많은 해외 밀리터리 기사를 접하면 접할수록 정치, 경제 및 지정학적 이슈들이 복잡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분야가 군사 분야임을 실감할 수 있으며 스스로 부족한 점이 많다는 사실을 늘 통감하고 있습니다. 혹시 논지를 전개함에 있어 부족한 부분이 보이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국 출신의 아마추어 사학자이자 프리랜서.. 2023. 11. 17.
다극화된 전투기시장에서 F-35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KF-21에게 기술이전 및 암람통합을 거부했던 미국, 후회하기 시작하다 [Foreign Policy] “F-16은 해낼 수 있었지만 F-35는 해낼 수 없는 일”이 무엇일까? 라는 질문은 의외로 많은 것을 내포한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번역할 예정인 Foreign Policy 기사의 맥락을 관통하는 내용이 될 수도 있고요. 미국의 국제정세 전문지 Foreign Policy는 세계 전투기 시장에서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로 대표되는 미국의 지배력이 약화되고 다극화 시대, 일명 ‘전투기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제가 늘 강조하고 있지만 F-35는 대단히 우수한 전투기입니다. 뛰어난 스텔스 및 상황인식 능력 덕분에 먼저 치고 빠질 수 있어 생존성이 높고 불시에 적의 대공 방어망을 와해시킬 수 있는 능력까지 지니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첨단 데이터 링크를 통해 각종 장거리.. 2023. 11. 15.
KF-21이 F-35보다 비싸다는 SBS뉴스와 정면으로 대치되는 美 군사전문지 보도: 대당 6천억으로 F-35를 구매한 캐나다는 바보란 말인가? 2023년 8월 13일 SBS 뉴스는 『美 F-35보다 비싼 KF-21…도입 계획 어쩌나』 라는 제목의 뉴스를 방송했습니다. 마침 구글을 통해 KF-21 보라매 관련 해외기사를 검색하고 있던 저는 인터넷을 통해 이 기사를 접할 수 있었고 기사가 내포하고 있는 몇 가지 중대한 오류로 인해 시청자들의 오해를 불러 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기사에 달린 네티즌들의 댓글이 이러한 오류들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었고 관련 해외 기사의 내용도 방대했기 때문에 KKMD 게시판에 간단하게 제 생각을 써놓는 정도로 넘어가려 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변 지인들로부터 “F-35가 저렇게 가격을 후려치면 KF-21 보라매 사업에 큰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 “KF-21 보라매의 앞날이 걱.. 2023. 11. 14.
천룡(天龍) 장공지와 함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기만용 무인드론 MALD: 만약 KF-21, FA-50에 탑재될 수 있다면? 1년 반 이상 이어지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기존의 전투 교리들 중 그 유효성이 다시 검증되고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전쟁 초기 FGM-148 재블린(Javelin) 같은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이 두드러지는 활약을 펼치면서 한때 전차 무용론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가 되기도 했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라고 평가 받던 ‘골리앗’ 러시아 공군은 1/12 수준에 불과한 ‘다윗’ 우크라이나 공군을 압도하지 못하고 제공권 확보에 실패했습니다. 만약 러시아가 빠른 제공권 확보에 성공했다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이렇게 길어지지도 않았겠죠. 4,200 대 280. 동원할 수 있는 군용기 숫자로만 보아도 러시아 공군과 우크라이나 공군 사이에는 엄청난 전력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공군이.. 2023. 11. 13.
인도네시아도 울고 갈 진상고객 인도를 상대로 라팔 26대와 잠수함 추가수출에 성공한 프랑스: 인니 문제, 해법이 보인다 최근 ‘인도네시아’ 이 다섯 글자만 보아도 울화통이 치밀고 스트레스가 쌓인다는 반응을 보이는 밀리터리 매니아들이 많습니다. 거기 더해 역대 최대 규모의 방산수출에 성공한 폴란드마저 과도한 ‘수출금융지원’을 요구한다며 불만을 표시하는 분들도 많이 보이고요. 먼저 생각해봐야 할 부분은 지금 대한민국이 걸어가고 있는 길은, 예전에 한번도 가보지 못했던 ‘새로운 길’이라는 사실입니다. 저 모퉁이를 돌아가면 어떤 장애물이 있을지, 내리막길이 있을지 오르막길이 나타날지 예측을 할 수 없다는 뜻이죠. 다행스럽게도 대한민국은 다양한 분야의 해외수출 경험을 보유하고 있기에 그런 경험을 살려 한번도 가보지 못했던 새로운 길을 가는데 큰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그래도 실수를 통해 배움을 얻는 과정을 피해갈 수는 없을 것입니.. 2023. 11. 11.
KF-21 보라매를 놓친다면 두고두고 후회하게 될 것이라는 외신들의 잇단 지적: 인도네시아, 멘탈 붕괴? 지난 6월까지 체납된 개발분담금 납부에 대한 지급계획을 밝히겠다는 약속을 또 다시 지키지 못한 인도네시아 국방부가 KF-21 보라매 프로그램에서 탈퇴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강변하고 있는 가운데, 프랑스 군사전문지 Meta Defense, 인도 매체 Eurasian Times, 홍콩 매체 Asia Times 등은 일제히 KF-21 보라매의 상대적인 우수성을 지적하는 동시에 인도네시아가 저지르고 있는 전략적 실수를 꼬집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심플하게 10조 8천억이라는 총 구매대금을 42대로 나누어보면 라팔(Rafale)의 대당 프로그램 가격이 2,500억 원을 넘는다는 계산이 나오고 따라서 6대의 라팔(Rafale)을 구매하는데도 1조 5천억 이상이라는 어마어마한 비용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프라보워 수비.. 2023. 11. 10.
러시아 최신예 전투기였던 MIG-29를 통째로 훔쳐갔던(?) 이스라엘: 그들은 왜 MIG-29가 필요했을까? 오늘 이야기는 이스라엘과 러시아의 MIG-29 전투기에 관한 내용입니다. MIG-29는 현재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노후화된 전투기들 중 F-15K 및 KF-16에 그나마 조금이라도 대응할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전투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혹시 1982년 시리아 공군과 이스라엘 공군 사이에 벌어진 베카 계곡 공중전을 알고 계십니까? 당시 이스라엘 공군의 F-15, F-16들은 소비에트 연방의 지원을 받은 시리아의 MiG-21, MiG-23, MiG-25를 철저하게 파괴하는 전과를 올리며 압승을 했는데요. 베카 계곡 공중전에 양측 합계 총 200기 이상의 전투기가 동원되었고 시리아 공군은 전투가 끝날 때쯤 21대의 MIG기를 포함하여 총 41대 이상의 전투기를 잃게 됩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의 신형.. 2023. 11.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