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568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 PGZ, KF-21 프로그램 참여 가능성에 대해 입을 열다! FA-50PL의 뒤를 이어 KF-21 보라매가 폴란드에 입성할 수 있을 것인가? 만약 KF-21 보라매가 폴란드에 입성할 수 있다면 어떤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을까? KKMD 452화 『FA-50 블록 20, KF-21에 폴란드를 참여시키는 계기가 되나? KAI 안현호 사장 인터뷰 풀(full)번역』 편을 통해 처음으로 KF-21 보라매의 폴란드 진출 가능성을 확인했을 때부터 내내 머리 속을 떠나지 않은 질문들이었습니다. 대한민국과 인도네시아 공군이 각각 120대, 50대의 KF-21을 도입한 이후 다른 나라로의 추가적인 수출이 가능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시각과 비관적인 시각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KF-21 보라매의 해외 수출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제시하는 첫 번째 근거는 초음속 전투기를.. 2023. 9. 21. 이레네우스 노박 공군 준장 FA-50PL 인터뷰 제2탄: 다시 선택하라고 해도 FA-50 블록 20다! 2023년 2월 22일 국내 일간지들은 “폴란드 파일럿, 한국서 FA-50 비행 교육 받는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하기 시작했습니다. FA-50 폴란드 수출에 따른 이행계약의 일환으로 8명의 폴란드 파일럿들에 대한 비행 교육이 시작되었는데요. 그 다음날인 2월 23일 폴란드 현지 언론을 통해서도 같은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폴란드 현지 언론 폴스카 즈브로이나(Polska Zbrojna)는 이레네우스 노박(Ireneusz Nowak) 공군 준장과의 인터뷰 내용을 기사로 만들어 FA-50에 대한 폴란드의 관심을 전했는데요. FA-50과 관련된 노박 준장과의 인터뷰는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첫 번째 인터뷰는 KKMD 462화 『말 많은 폴란드 밀매들을 위한 폴란드 공군 준장의 직격 인터뷰: FA-50의 .. 2023. 9. 19. [Meta Defense] K2흑표와 K9썬더는 시작일 뿐이다? 한국산 전투함/잠수함들이 유럽을 휩쓰는 날이 다가온다! 포스팅 제목이 자극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극적인 효과를 노리기 위해 다소 과장된 표현을 쓸 때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저는 최대한 번역한 기사 내용 중에서 제목을 뽑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 제목은 대한민국 국뽕과는 전혀 상관없는 프랑스 군사전문지 Meta Defense가 게재한 헤드라인을 거의 그대로 옮겨온 것입니다. 2023년 8월 24일에 게재된 해당 기사는 “After tanks, South Korean defense shipbuilding will sweep across Europe (주력전차 이후, 대한민국 해군 군수 산업이 유럽 전역을 휩쓸 것이다)”라는 제목을 달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청자 여러분들이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아무런 역주도, 사견도 덧붙이지 않을 생.. 2023. 9. 18. [중국일보 번역] FA-50을 제치고 UAE에 L-15 수출 성공하며 자신감 쩌는 중국: 美 F-16, F/A-18과도 교전 가능하다? 2023년 2월 23일, 중국 공산당을 대변하는 관영 매체 중국일보(中國日報), 영문명 China Daily는 자국 고등훈련기 겸 경전투기 L-15가 아랍에미리트에 수출되었다는 소식을 알리며 L-15를 ‘세계 최고 수준의 훈련기’라고 자축하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세계를 훑어봐도 마하 1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훈련기는 대한민국 T-50과 중국 L-15 단 두 종류 밖에 없다는 이야기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즉, 명시적으로 내비치지는 않았지만 중국 L-15가 대한민국 T-50보다 나았으면 나았지 결코 뒤쳐지지 않는 명품 훈련기라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죠. 그러나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이탈리아 레오나르도가 만든 훈련기 M-346 및 중국 L-15와 대한민국 고등훈련기 T-50 사이에는.. 2023. 9. 14. 폴란드 육군의 미래는 대한민국 차기 전차 K3에 달려있다? 현대로템을 방문한 폴란드 기자가 평가한 K2흑표의 장단점 폴란드 군사 전문지 Defence24의 편집자들이 현대로템의 초대를 받아 경남 창원에 있는 현대로템 공장을 직접 방문했습니다. K2흑표를 가까이서 직접 보고, 듣고, 느낀 Defence24 편집자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지난 2023년 6월 23일 기사를 작성하여 게재했습니다. 본인들이 직접 취재한 내용인 만큼 기사의 충실도가 높은 것이 느껴지는데요. 폴란드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K2흑표의 장단점에 대해 심층 분석을 해놓았습니다. 이번 기사는 1) 폴란드산 흑표범 K2PL의 등장, 2) 폴란드가 놓쳐서는 안될 다시 없는 기회: 대한민국 차세대 주력전차 K3 개발 프로젝트, 3) 쉽게 대답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들, 4) K2, K2PL 그리고 K3와 관련된 산업적 이슈들이라는 4가지 소제목으로 구성되어.. 2023. 9. 11. [폴란드 반응] 복좌형 KF-21 시제 4호기 비행성공에 큰 관심을 보인 폴란드 언론: KF-21의 미래, 유무인 복합체계! 오늘 소개할 기사는 폴란드 매체 콘플리크티 Konflikty가 2023년 2월 20일 게재한 기사입니다. KF-21 복좌식 시제 4호기가 34분간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는 기사인데요. 개인적으로 2명의 조종사가 탑승하는 복좌식 KF-21의 초도 비행 성공은 좀 더 큰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프로파일럿’에 출연한 정광선 전 한국형전투기사업단장은 ‘KF-21 보라매의 최종 형태가 꼭 스텔스 전투기로 귀결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는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얼핏 들으면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발언이지만 정광선 전 사업단장은 미래 전장 환경을 예상해 봤을 때, 독자적으로 작전에 임하는 스텔스 전투기보다는 뛰어난 스텔스 성능을 지닌 무인기와 협동하여 작전에 임할 수 있.. 2023. 9. 7. [우크라이나 반응] 러시아 MiG-29를 완전히 퇴출시킬 수 있는 전투기로 성장한 KAI FA-50, 도대체 어떤 전투기인가? 지난 2023년 2월 24일,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만든 경전투기 FA-50이 말레이시아에 수출된다는 소식이 전 세계에 알려졌습니다. 그 다음날인 2월 25일 우크라이나에 기반을 둔 군사 전문매체 Defense Express에 이와 관련된 기사가 실렸는데요. 해당 기사 제목을 번역해보면 “국제 전투기 시장에서 나날이 그 지분을 넓혀가고 있는 대한민국 FA-50: 말레이시아도 MiG-29를 FA-50으로 교체하다” 정도로 이해가 됩니다. 4세대 전투기로 분류되는 러시아 MiG-29는 1980년대부터 실전 배치되기 시작했습니다. 대충 계산해봐도 기체 연령이 40년에 달했을 정도로 노후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신형 기체로 교체할 필요성이 절실한 기종이며 북한 공군이 보유한 전술기들 중 가장 현대적(?.. 2023. 9. 5. KF-21N와 초음속 대함미사일로 자국해군을 격침시키는 CG영상에 발끈한 중국언론: 한국, 아시아 평화에 도움되는 행동을 해라? 거의 10개월 전인 2022년 10월 12일 국내 유튜브 채널 『밀덕 케이짱』에 “국산 함재기 KF-21N 탑재 CATOBAR 방식 항공모함의 위력”이라는 제목으로 영상 하나가 게재되었습니다. 저도 CVX 및 KF-21N 관련 영상자료를 찾다가 우연찮게 본 기억이 있는 영상 자료입니다. 그런데 2023년 8월 13일 중국에서 발간되는 영문 인터넷 매체 MIN News에서 이 영상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사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 중국 기사는 “South Korea released the video ‘Destroy the Chinese Navy’ to reveal the KF-21 fighter attack scene and realistic considerations (‘격침되는 중국 해군’이라는.. 2023. 9. 1. 현대로템 서준모 상무 Defence24 인터뷰: 유럽시장을 노리는 ‘폴란드’산 K2PL의 성능은? 한국군 K2와 비교한다면? 2023년 5월 12일 폴란드 군사전문지 Defence24는 서준모 현대로템 상무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세계 수출시장을 노리는 폴란드산 K2 주력전차’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최근 선거를 통해 교체된 호주 정부에 의해 한화 AS-21 레드백이 도전하던 보병전투장갑차 사업이 거의 1/4 수준으로 축소되면서 방산제품 해외 수출이 안고 있는 구조적인 리스크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천문학적인 비용과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 인프라를 요구하는 방산제품의 경우, 계약부터 실제 인도까지 2~3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사이 호주처럼 정부가 교체되고 새로운 정부가 이전 정부와 반대되는 국방 정책을 표방한다면 기존의 사업이 축소되거나 심한 경우 아예 취소되어버리는 변수가 얼마든지 발생.. 2023. 8. 23.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6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