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해군 무기체계/신이 내린 방패 이지스 및 구축함23

[Naval News] 한국형 SM-3, SM-6의 등장: ‘함대공 유도탄-II’ 프로그램과 한국형 항모 CVX 전단의 미래!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지형이 나날이 험악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촉발된 세계 지정학적 균형의 붕괴는 러시아와 중국의 밀착을 불러왔고 미국과 유럽으로 대표되는 서방 세계와 치열한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혹자는 이를 두고 ‘신(新)냉전’이라는 표현까지 쓰고 있을 정도죠. KKMD 404화를 통해 3조 7천억에 가까운 비용을 들여서 59대의 F-15K를 4.5+ 세대 F-15K EX 어드밴스드 이글로 업그레이드시키는 작업이 재개되었다고 알려드렸습니다. KF-21 개발비에 8조(양산비용 별도), 한국형 항모 CVX를 건조하고 함재기를 도입하여 완전한 작전능력을 갖추는데 7~8조 정도의 비용이 필요하다(해군 추정비용)는 사실에 비추어본다면 F-15K EX 업그레이드로 보잉이 요.. 2022. 9. 12.
[Kevin’s 패치워크] 우리가 몰랐던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의 강력한 숨은 기능? MASOC(메이삭)을 알아보자! 지난 289화 『신형 '미니' 항모 마라도함을 보유하게 된 대한민국. 점점 형태가 갖추어지는 제7전략기동함대』 편을 끝맺으면서 예고했던 대로 독도함을 계승하여 개발된 마라도함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선점들과 우리 해군이 이지스 구축함을 그토록 원했던 또 다른 이유 한가지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기 위해 해양군사전략 전문가 및 해군 관계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내용에 대한 감수를 받았다는 점도 미리 알려 드립니다. 마라도함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선점에 대해서는 사실 다른 매체들도 많이 다루고 있습니다. MV-22 오스프리 틸트로터기나 F-35B 같은 수직이착륙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을 견뎌낼 수 있도록 보다 더 강화된 성능의 내열 갑판을 지니고 있다든지 대공 레이더를 회전식.. 2022. 5. 11.
[Kevin's 패치워크] 美,日 이지스함을 넘어 세계 최고의 탄도미사일 탐지 및 추적역량을 갖추게 된 세종대왕급! 탄도미사일 요격능력은 왜 배제되었을까? 1967년. 이스라엘,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등 아랍연합국가 간에 발발한 3번째 전쟁이었던 3차 중동 전쟁은 해전 역사를 송두리째 바꾸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3차 중동 전쟁이 한창이던 1967년 10월 21일, 이집트 해군의 코마(Komar)급 미사일정이 발사한 단 4발의 구 소련제 스틱스(Styx) 대함 미사일에 의해 만재 배수량 2,530톤이며 199명의 승조원이 탑승한 이스라엘의 구축함 에일라트(Eilat)가 하릴없이 차가운 바다 속으로 가라앉아 버렸기 때문입니다. 역사상 처음으로 미사일에 의해 전투함이 침몰한 사건이자 함대함 순항 미사일이 처음으로 사용된 사건이기도 했습니다. 충격에 빠진 전 세계 해군들은 후세에 이를 스틱스 쇼크(Styx Sh.. 2022. 4. 3.
[Asia Pacific Defence News] 일본 최신예 이지스 구축함 마야급이 지닌 가공할 초수평선 요격능력(CEC)! 한국형 CEC의 등장은 KDDX와 함께? 오늘 가져온 이야기는 2020년 8월 7일 Asia Pacific Defence News가 게재한 일본의 최신예 이지스 구축함 마야급에 관한 해외 기사입니다. 대한민국의 이지스 구축함 세종대왕급(KDX-3)과 자주 비교되는 일본의 이지스 구축함이 바로 아타고(Atago)급입니다. 크기와 만재 배수량이 서로 비슷한 두 이지스 구축함은 사실 미국의 이지스(Aegis) 전투 시스템을 공동 구매하는 방식으로 도입했습니다. 따라서 도입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면 세종대왕급 구축함과 일본 아타고급 구축함은 Baseline 7.1 버전으로 서로 같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었고 장착된 레이더도 AN/SPY-1D(V) 위상배열레이더로 서로 같았습니다. 하지만 2018년 말 일본은 아타고급 구축함의 이지스 운영체계.. 2022. 2. 15.
728x90
반응형